서울시가 올해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 시범사업으로 자율주행 순찰로봇, 폭우 대비 스마트 안전시스템 등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AIoT는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디지털 기술이다. 서울시는 관악구에서 안전 취약지역을 순찰하고 역사·문화를 안내하는 자율주행 로봇과 비콘을 활용해 CCTV 관제센터와 연계하는 어린이 실종예방 사업에 나선다.
낙성대 공원과 신림동 별빛내린천 공원 일대에 CCTV, 스피커, 경광등, 각종 센서가 결합한 자율주행 로봇 2기를 배치한다.
이 로봇은 야간 취약지역을 순찰하며 촬영한 영상을 CCTV 관제센터에 실시간 제공해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주간에는 공원 내 문화재와 역사 안내 기능을 수행한다.
관악구 일대 어린이집 30개소에 원아 2,800여명을 대상으로 어린이 안심지역 이탈알림 시스템도 시범 구축한다.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종 신고가 발생하는 즉시 경찰과 인근 CCTV와 연계해 아동을 추적한다.
서대문구에서는 폭우 발생 시 저지대 취약가구의 침수·화재 상황을 구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총괄 대응하는 스마트 안전시스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300개 반지하 가구에 침수, 화재, 일산화탄소 감지 센서를 설치해 취약가구의 안전 상태를 실시간 원격 관리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시민이 생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를 발굴·확산하기 위해 기술과 효과성을 검증하는 AIoT 시범사업을 2018년부터 매년 해왔다.
지난해에는 관악구 내 경로당 10개소를 스마트경로당으로 전환하고 종로구 일대 소화전 13개소를 관할 소방서에서 원격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김진만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도시문제 해결과 시민들의 안전하고 편리한 일상을 위한 다양한 IoT 서비스를 지속 발굴·확산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NIA·국정원, 양자암호통신 시범사업 및 보안검증제도 설명회
- 현대모비스, 아동 심리상담에 헬스케어 기술 ‘엠브레인’ 지원
- 삼성·LG전자, 나주시 ‘주민 수요반응(DR) 서비스’ 시범사업 합류
- 신한카드, 환경부·수원시·KT와 탄소중립 얼라이언스 MOU 체결
- 국토부, ITS 혁신기술 공모사업…민간기술 발굴·도입 늘린다
- SKT, 뉴빌리티·SK쉴더스와 자율주행 AI순찰로봇 사업화 ‘맞손’
- ‘자율주행 순찰로봇·수요응답형 모빌리티’ 등 혁신기술, 규제샌드박스 적용
- 라이드플럭스, ‘CVPR 2023’서 비정형 객체탐지(OD) 성능 개선 연구논문 공유
- 창립 10주년 미르, “자율이동로봇으로 물류·유통 혁신 선도”
- 과기정통부, IoT보안인증 간소화…인증 파생 모델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