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중심 맞춤형 AI서비스 전략 공유

21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송재호 부사장이 향후 AI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KT]
21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송재호 부사장이 향후 AI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KT]

KT가 2025년까지 고객 맞춤형 인공지능(AI) 사업에서 연매출 1조원 돌파 목표를 내세웠다. AI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7년까지 7조원을 투자할 계획도 공유했다.

KT는 21일 서울 중구 노보텔 앰배서더 동대문에서 간담회를 열고 맞춤형 AI 서비스인 AI로봇, AI케어, AI교육 사업 전략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고객, 산업 수요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고객중심의 맞춤형 AI 서비스’를 선보이는 AI 서비스 프로바이더(Provider)로 자리매김한다는 것이다.

AI 사업의 글로벌 진출 계획도 공유했다. 싱가포르 1위 통신사 싱텔, 현지 대표 물류기업과 협력해 동아시아 물류 허브인 싱가포르 현지에 AI 운송 플랫폼을 선보인다. 베트남 헬스케어 법인 ‘KT헬스케어비나(KT Healthcare Vina)’를 설립해 암환자와 만성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AI 케어서비스도 올해 하반기 상용화할 예정이다.

KT는 2027년까지 5년간 ▲초거대AI 기술 ▲AI 핵심 인프라인 클라우드·IDC 인프라 고도화 ▲AI 신사업 발굴·서비스 고도화 등을 위해 약 7조원의 투자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투자로 초거대AI 파라미터 스케일 확대 및 학습 기술을 확, IDC 신축·증설, AI컨택센터(AICC) 인프라 고도화 등 최고 수준의 AI기술 역량과 인프라를 확보해 AI 사업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로보틱스 사업 전략도 재정의했다. KT는 로봇 사업을 하드웨어 중심이 아닌 서비스 중심의 사업으로 정의하고 ‘딜리버리 체계’와 ‘로봇 플랫폼’ 기반의 AI 로봇 서비스 프로바이더로서 서비스로봇 보급 확산과 시장 성장을 주도한다는 목표다.

AI 로봇 제품 라인업도 확장한다. 현재 서빙로봇, 방역로봇, 실내배송로봇을 포함해 올해 하반기로 예상되는 로봇 공도주행 관련 법률 개정에 맞춰 여러 매장과 다양한 주거·오피스 공간을 이어주는 실외배송로봇 서비스를 확장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공장과 물류센터 내부의 소형 물류 이동을 책임지는 공장용 소형 물류 로봇, 농업 현장의 일손을 거들어주는 농업용 배송 로봇까지 서비스 도메인을 확대하는 방안을 연내 추진할 예정이다.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송재호 부사장이 AI 사업 기자간담회에 앞서 실내외 배송, 서빙, 방역 로봇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KT]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송재호 부사장이 AI 사업 기자간담회에 앞서 실내외 배송, 서빙, 방역 로봇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KT]

헬스케어 사업 부문에서는 만성질환 중심의 원격케어 서비스도 국내에서 시작한다. KT의 원격케어 서비스는 간호사, 영양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케어코디네이터(Care Coordinator)가 AI 기술로 만성질환자의 데이터와 상담 기록을 분석해 얻어낸 ‘케어플랜’을 앱, 전화로 제시하는 서비스다.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케어를 위한 ‘AI 돌봄케어 서비스’를 TV로 확장한 ‘지니TV 케어’ 서비스도 론칭 예정이다.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송재호 부사장은 “그간 축적한 경험과 역량, 인프라와 노하우를 AI 사업에 그대로 적용시켜 고객중심의 AI 서비스 프로바이더로 자리매김하겠다”며 “미래 성장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 AI 산업 경쟁력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