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 국내 독점사용, 해외 공동진출 검토로 협력 확대
SK텔레콤이 글로벌 UAM 기체 제조사 조비에비에이션(Joby Aviation)에 1억달러를 투자한다. 양사는 지난해 2월 UAM 사업협력을 위해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동맹을 선언한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지분투자를 통해 이를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SK텔레콤은 이번 투자로 약 2% 규모의 지분(신주 인수)을 확보하게 된다. SK텔레콤은 “조비에 투자함으로써 국내 UAM 사업 추진에 있어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조비는 UAM에 활용되는 수직이착륙비행체(eVTOL) 개발 분야에 있어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비가 개발한 S4 기체는 업계 최고 수준의 속도(322km/h)와 비행거리(241km)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연방항공국(FAA)의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도 가장 먼저 승인받은 바 있다.
SK텔레콤은 이번 투자를 통해 조비 기체를 국내에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현재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형도심항공교통 실증사업(K-UAM 그랜드챌린지)’에 조비 기체를 활용하고 2025년으로 예상되는 국내 UAM 상용화 시점 이후에도 조비 기체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양사는 UAM 분야 연구개발(R&D) 협력과 국내 UAM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사업 협력에도 합의했다.
UAM 기체 운영, 유지보수 관련 기술과 국내 실증사업을 수행하며 쌓은 기술 노하우 공유 등 기술적 협력을 강화하고 국내 다양한 모빌리티 기업과의 제휴 등에 대해서도 양사가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국내에서의 협력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해외로의 동반 진출도 검토하기로 했다.
UAM은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최첨단 ICT가 집약되는 분야로 AI컴퍼니로 전환 중인 SK텔레콤이 적극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AI기술은 UAM의 상공망 통신, 교통관제, 지상교통과의 연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된다. SK텔레콤은 현재 내재화하고 있는 AI기술을 향후 UAM 서비스 대중화와 생태계 구축에 쏟아부을 계획이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조비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UAM 기체를 국내에 도입해 UAM 실증사업 추진과 상용화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UAM을 통해 고객의 이동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UAM 기술력을 빠른 속도로 높여 한국이 모빌리티 강국으로 도약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벤 비버트 조비 에비에이션 창업자 겸 CEO는 “이번 협력 확대를 통해 정부가 상용화를 적극 추진중인 한국 UAM 시장에서 최상의 사업적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한국을 위한 혁신적인 UAM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양사가 적극 협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전자, 6G 협의체 NGA 애플리케이션 워킹그룹 의장사 선정
- 카카오모빌리티, 싱가포르 교통부 관계자와 간담회…기술·서비스 현황 공유
- LGU+, 진주시·경상국립대병원과 미래항공 모빌리티 생태계 활성화 ‘맞손’
- 현대모비스 조성환, “SW-실리콘 통합 플랫폼으로 모빌리티 혁신 가속화”
- 철도·버스·택시 등 단일 앱에서 검색-예약-결제 가능해진다
- 칩스법·IRA 등 韓·美 경제협력 이슈 부상…한경연, “양국 간 협력 강화해야”
- SKT, ‘2023 서울모빌리티쇼’ 참전…IVI·UAM 체험관 운영
- 삼성, 5G 기반 위성통신용 모뎀 국제표준기술 확보
- 통신3사, ‘K-UAM 그랜드 챌린지’에 각자 컨소시엄 구성
- LGU+, 카카오모빌리티와 합작투자 계약…전기차(EV) 충전사업 진출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