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인도네시아 양국은 올해 세 차례 정상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전기차(EV)·배터리 산업 생태계 조성에 협력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산 전기차와 배터리 생산을 위한 공급망 협력을 이어가고, 배터리 재활용과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정대진 통상차관보와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 에디 프리오 팜부디 차관을 공동위원장으로 한 ‘제2차 한·인도네시아 경제협력위원회’에서 이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이날 회의에서 아세안 및 세계 전기차 시장으로의 공동 진출을 위해 인도네시아산 전기차·배터리 생산 투자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인도네시아에 풍부한 니켈 등 배터리 핵심 광물의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향후 시장이 크게 확대될 인도네시아의 전기 이륜차 시장에 맞춰 이륜차용 파워트레인 공장을 건설하고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투자까지 협력 확대의 폭도 넓히기로 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협력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그린수소 생산시설 및 태양광 발전시설을 구축하고 온실가스 국제감축을 위한 공동사업도 추진한다.
뿌리산업 인력양성과 전기차 충전시설 관리 및 법정 계량 등 산업, 에너지, 표준 분야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도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양국 수석대표는 회의 모두 발언에서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인도태평양 지역의 주요 경제협력 파트너로서 수교 이후 50년간 공고한 경제협력 관계를 이어왔다”며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50년을 향해 함께 도약하기 위해 공급망, 기후변화 등에서 새로운 협력안을 모색해야 할 시기”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땡큐 SK온”…美 조지아주에 ‘SK로’ 생겼다
- 日 닛산, 전기차(EV)에 테슬라 충전규격 ‘NACS’ 채택
- LGU+, 포커스미디어와 제휴…대단지 아파트·오피스 빌딩에 EV 충전 인프라 구축
- 과기정통부·특허청, NTIS 기술사업화 플랫폼 오픈
- LG엔솔, 칠레 SQM과 10만톤 규모 리튬 구매계약 체결
- 쏘카·한국전자금융, 카셰어링 이용 활성화 ‘맞손’…MOU 체결
- 산업부 1차관, 동진쎄미켐 발안공장 방문…반도체 소부장 기업 간담회
- 솔루엠, 전기차(EV) 충전기용 고밀도 파워모듈로 유럽시장 첫 발
- 13일 연속 주가 상승한 테슬라…“반등 이유 있었네”
- SK시그넷, 테슬라 ‘수퍼차저’ 커플러 방식 NACS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