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중심에서 서비스·구독모델로 영역 확장
모바일 앱처럼 원하는 기능 추가·삭제 가능한 ‘초개인화’ 핵심

LG전자가 25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Up가전 2.0을 공개했다. 사진은 가전기기 특화 AI칩 DQ-C 칩셋 [사진=연합뉴스]
LG전자가 25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Up가전 2.0을 공개했다. 사진은 가전기기 특화 AI칩 DQ-C 칩셋 [사진=연합뉴스]

LG전자가 ‘업(UP) 가전 2.0’으로 생활가전을 스마트홈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혁신에 나선다. 제품부터 서비스까지 ‘가사 해방을 통한 삶의 가치 제고(Zero Labor Home, Makes Quality Time)’를 목표로 스마트홈 솔루션 사업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가전에 특화된 AI칩 및 OS운영체제(OS)를 통한 초개인화 ▲제품 케어십 서비스는 기본이고 가사 관련 O2O 서비스를 연계해 가사 부담 최소화 ▲구독 사업 등을 중점으로 하는 UP가전 2.0을 공개한 바 있다.

UP가전 2.0은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는 순간부터 사용하는 내내 각자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제품과 서비스가 제공되는 스마트가전 시대를 위한 ‘초개인화 가전’이라고 LG전자는 소개했다.

정해진 스펙이나 기능에 맞춰 제품을 사용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고객 니즈에 맞춰 필요한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지속추가하는 1세대 UP가전보다 진화된 형태다.

가전 사업 포트폴리오인 구독서비스 모델도 UP가전 2.0을 통해 시작하기로 했다. LG전자는 구독형 가전이 고객과의 지속적인 연결고리를 갖는 고객 관계 중심사업의 핵심요소로 대형가전 시장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했다.

◆내게 맞춰지는 초개인화 가전
LG전자는 25일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많은 고객이 내게 필요한 앱을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삭제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편리한 경험을 가전에서도 누리고 싶어 한다는 점에 주목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LG전자는 이를 위해 3년 이상의 연구개발을 거쳐 스마트가전용 AI칩(DQ-C)과 가전OS를 자체 개발했다고 전했다.

DQ-C칩은 제품 제어기능과 사용자경험(UX) 관련 다양한 콘텐츠를 스마트폰 앱처럼 고객의 니즈에 맞춰 자유롭게 추가·삭제하도록 지원한다. 딥러닝(DL) 알고리즘 처리 성능도 높이면서 음성인식, AI제어의 정확도와 처리속도도 높였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가전OS는 25일 UP가전 2.0으로 출시되는 세탁기와 건조기 제품에 첫 적용한다. UP가전 2.0 구매자는 제품을 수령하기 전 LG씽큐 앱에서 3단계의 ‘라이프 패턴 분석’ 설문을 진행하면 LG전자가 이를 토대로 고객에게 최적화된 기능을 제안하는 형태다.

LG전자는 UP가전 2.0이 개인에게 최적화된 제품이자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가전의 서비스화’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매하는 시점에 제품 관리, 세척 등 본래 성능을 오래 유지하도록 돕는 LG전자 케어십 서비스는 기본이고 가사 부담을 줄이는 다양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LG전자 H&A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이 25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생활가전을 스마트홈 솔루션으로 전환시키는 'UP가전 2.0'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LG전자 H&A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이 25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생활가전을 스마트홈 솔루션으로 전환시키는 'UP가전 2.0'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선택가능한 외부 O2O 서비스는 ▲모바일 비대면 세탁(런드리고) ▲세제(LG생활건강)·유제품(우유창고) 정기배송 ▲집 청소 및 냉장고 정리(대리주부) ▲물품보관(미니창고 다락) ▲신선식품(더반찬&) 등 현재 총 6종이다. 각 서비스는 구독 기간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가입·해지할 수 있도록 했다.

홈솔루션도 제공한다. 가령 기존 세탁기가 세탁만을 위한 가전이었다면 외부 서비스와 연계한 UP가전 2.0 세탁기는 세탁에서 드라이클리닝, 의류 보관 등 의생활 전반을 케어하는 세탁 솔루션을 제공한다. LG전자는 서비스 제휴 영역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결합한 구독사업 전개
가전의 초개인화를 위한 구매 방식의 다변화 차원에서 구독 방식도 새로 도입한다. 기존 렌탈은 향후 구독과 통합 운영할 방침이다.

가전 구독은 3년부터 6년까지 사용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초기 구매비용 부담을 줄였고, 고객은 구독을 신청할 때 다양한 제품 옵션과 서비스를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구독기간 동안 제품 AS는 무상으로 제공한다.

LG전자는 고객이 구독기간 동안 생활패턴이나 취향에 더 맞춰진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 사용을 분석한 내용과 함께 추천코스, 소모품 정보 등을 담은 월간 리포트를 LG씽큐 앱을 통해 제공한다.

LG전자 H&A 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UP가전 2.0은 가전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서비스 기반 사업으로 확장하는 시발점”이라며 “LG전자가 가전업계의 흐름을 ‘HaaS(Home as a Service)’로 전환하는 데 도전하며 가전을 통해 고객의 생활 전반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