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요약·텍스트-투-코드 기능 발표…반복 작업 완화로 생산성 향상
서비스나우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능을 확대하면서 사례요약, 텍스트-투-코드 기능을 플랫폼에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서비스나우 대규모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이들 기능은 반복적인 작업을 완화해 생산성 향상을 이뤄낼 수 있게 한다.
사례요약, 텍스트-투-코드는 서비스나우 플랫폼의 나우 어시스트 제품군의 생성AI 기능으로 구동된다.
사례요약 기능은 생성AI를 바탕으로 IT, HR, 고객 서비스 사례에서 고객 또는 사건의 세부 정보, 이전 접촉 지점, 관련 당사자가 취한 조치와 최종 해결방안을 요약해 보고서로 제공해준다. 이를 통해 내부팀간의 빠른 업무 이양이 가능하게 되며, 문제 해결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텍스트-투-코드는 개발자의 반복적인 작업을 제거해 업무효율을 높이는 기능이다. 개발자가 원하는 코드 유형에 대한 일반 자연어 텍스트 설명을 작성하면 나우 플랫폼의 생성AI가 텍스트를 고품질 코드로 제안하거나 검토·편집·구현할 수 있는 완성된 코드까지 제공해 개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CJ 데사이 서비스나우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생성AI는 업무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생성AI 분야에서 강력한 견인력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탁월한 경험과 향상된 결과를 제공하여 기업 전반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례요약, 텍스트-투-코드는 ITSM, CSM, HRSD용 생성AI를 위한 새로운 프리미엄 SKU와 함께 9월 서비스나우 밴쿠버 릴리스를 통해 공식 출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상반기 시장 강타한 생성AI(Gen AI) 열풍, ‘AI버블’ 경계감도 확산
- AWS, 임상 문서 자동생성 ‘AWS 헬스 스크라이브’ 출시
- “아시아·유럽·중동 대표 통신사 AI연합체 출범”
- 알리바바클라우드, 애널리틱DB 벡터엔진 업그레이드
- 빅테크 실적 주간…“구글·MS, 희비 갈렸다”
- “생성AI의 부상, 로우코드/노코드 트렌드 가속화 견인”
- 오픈AI, 챗GPT 안드로이드용 앱 출시…韓, 첫 대상국서 제외
- 가트너, “올해 글로벌 IT시장 전년비 4.3% 성장”
- 서비스나우, 생성AI 솔루션 ‘버추얼 에이전트용 나우어시스트’ 공개
- MS, ‘빌드 2023’서 생성AI 기반 분석 플랫폼 ‘MS패브릭’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