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CP 비용 부담 완화…콘텐츠 제작사 해외 진출도 지원
CJ올리브네트웍스가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FAST)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FAST란 기존 TV방송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중간 형태로, 광고 시청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구독료 없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OTT서비스가 다양화되면서 구독 피로, 구독료 부담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FAST 사업을 확대해 소비자의 부담을 낮추는 동시에 중소 콘텐츠공급자(CP) 지원으로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자체 개발한 콘텐츠매니지먼트시스템(CMS)을 바탕으로 FAST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자체 개발한 CMS는 콘텐츠 관리·편성과 광고 송출 서비스를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 가능하며, 전문 콘텐츠 아카이브 기능을 탑재해 콘텐츠 분실과 같은 사고 걱정 없이 안전한 플랫폼 운영을 지원한다고 이 회사는 소개했다.
현재 CJ그룹 계열사, 방송 채널 사업자 등 총 56개 채널에 송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CJ올리브네트웍스는 방송미디어 컨설팅부터 통합 솔루션 구축과 운영, 콘텐츠 제작·유통 등의 원스톱 서비스에 더해 FAST까지 활성화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방송 패러다임에 대응하고,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FAST 서비스를 통해 중소 CP의 부담을 완화, 동반 성장의 기회가 모색될 것이라는 기대도 밝혔다.
FAST 서비스에서 CJ올리브네트웍스의 IT인프라를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중소 CP의 인프라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 CJ올리브네트웍스의 FAST 송출 서비스 함께 콘텐츠 현지화 서비스를 결합해 콘텐츠 제작사의 글로벌 진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신봉호 CJ올리브네트웍스 미디어플랫폼담당은 “CJ올리브네트웍스의 FAST 송출 서비스는 플랫폼 구축은 물론 콘텐츠 현지화 가공 등 국내 콘텐츠 사업자의 글로벌 진출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며, ”다양한 광고 에이전시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의 콘텐츠가 FAST 플랫폼에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SNL, U+tv서 본다”…LGU+, 쿠팡플레이와 제휴
- 가입자 1억명 돌파…메타 ‘스레즈’ 열풍, 트위터 대체제 가능할까?
- 데이터 폭증, 늘어난 클라우드 수요…국내 플레이어의 시장 전략은?
- “MZ세대 절반,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경험 재현”
- 과기정통부, ‘누누티비 시즌2’ 강력 대응 예고
- “콘텐츠 수익 창출 심화, 오리지널IP 중요성 커졌다”
- CJ 올리브네트웍스, 양산부산대병원 스마트 물류센터 구축
- CJ올리브네트웍스, KT 지니TV HDR10+ 전환 지원
- CJ올리브네트웍스, 딜라이브에 FAST 서비스 구축
- 디지털 광고 매출 줄어든 SNS 빅테크, “구독모델로 수익성 실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