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생성AI 기업 ‘앤트로픽(Anthrophic)’에 1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고 AI 사업 협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앤트로픽에 시리즈C 투자를 단행한 SK텔레콤은 대규모 후속투자를 통해 다국어 대규모언어모델(LLM) 공동 개발을 포함한 협력을 전방위 확대하기로 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앤트로픽은 오픈AI 출신 연구원이 2021년 설립한 생성AI 혁신기업이다.
앤트로픽의 ‘클로드(Claude)’는 오픈AI의 챗GPT(Chat GPT)와 함께 가장 뛰어난 AI챗봇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최근 구글, 세일즈포스 등 빅테크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SK텔레콤은 “이번 앤트로픽 지분 투자는 단순한 재무적 투자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며 “SK텔레콤은 전략적 투자자로서 이번 투자를 통해 양사 간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함과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SK텔레콤-앤트로픽-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 간 지속가능한 사업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대규모언어모델(LLM) 공동 개발 및 AI 플랫폼 구축 등에 있어 사업 협력을 도모할 예정이다.
우선 양사는 한국어·영어·독일어·일본어·아랍어·스페인어 등을 포함한 다국어 LLM을 공동 발한다. SK텔레콤은 자체 개발·보유한 LLM의 성능을 강화하는 한편, 앤트로픽과 함께 새로운 다국어 LLM 모델을 확장함으로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앤트로픽은 기본적인 LLM을 목적에 따라 미세 조정하고 최적화하는 툴을 SK텔레콤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GPT-3 개발자이자 앤트로픽 공동창업자인 재러드 카플란이 LLM 전체 기술 방향 및 개발 로드맵을 담당한다.
양사가 공동 개발한 LLM은 앤트로픽의 클로드 모델과 더불어 SK텔레콤을 통해 국내 기업 등에 제공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앤트로픽의 공식 프리미어 파트너사로서 뛰어난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 유치 및 사업 확장에 나서게 된다.
SK텔레콤 중심으로 결성된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의 AI 서비스 개발을 위해 다국어 LLM 기반 AI 플랫폼 개발에도 힘을 모은다. 이를 바탕으로 도이치텔레콤(독일어), e&(아랍어), 싱텔(영어) 등 각 기업은 각자 요구사항과 현지 특색을 반영해 엔드유저를 위한 AI서비스를 빠르게 개발할 수 있게 된다.
다리오 아모데이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겸 CEO는 “한국어 LLM을 개발해 본 역량과 오랜 통신업 경험이 있는 SK텔레콤은 통신사업에 특화된 LLM을 함께 만들기에 최적의 파트너”라며 “통신산업을 혁신하기 위해 AI를 적극 활용하려는 SK텔레콤의 담대한 비전과 전략이 놀랍다”고 말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테크기업인 앤트로픽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계기로 협력을 본격화할 것”이라며 “SK텔레콤이 보유한 한국어 AI기술과 앤트로픽의 글로벌 AI 역량을 결합해 글로벌 통신사와 함께 생태계를 주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클로잇, 네이버클라우드와 MOU…기업용 생성AI 시장 확대 정조준
- SKT, 6G 표준화·생태계 방향성 담은 ‘6G 백서’ 발간
- 엔비디아, 차세대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 공개
- AI시대 보안 패러다임 짚는다…’코드게이트 2023’ 이달 24일 개최
- 과기정통부, ‘지능형 홈’ 산업 육성한다…매터 기반 신시장 활성화 추진
- SK하이닉스, 321단 4D낸드플래시 샘플 공개…“2025년 상반기 양산 개시”
- 생성AI 스타트업 키운다…AWS, ‘생성AI 액셀러레이터 2023’ 론칭
- “아태지역 기업 C-레벨 70%, 생성AI 투자 적극 검토”
- 알리바바클라우드, 대규모언어모델(LLM) 2종 오픈소스로 공개
- 국내 연구진, 대규모언어모델(LLM) 추론 연산 최적화 AI반도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