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국내 통신장비 제조업체 ‘이노와이어리스’와 손잡고 오픈랜(O-RAN) 테스트 과정 중 연동오류 발생 시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시험 검증 장비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양사가 개발·검증한 오픈랜 테스트 장비인 ‘이지스오(AEGIS-O)’는 오픈랜을 구성하는 분산장치와 안테나(각각 O-DU/O-RU), 코어망 장비 간 네트워크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해 장비의 상호호환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양사는 지난해 이노와이어리스가 글로벌 오픈랜 공유회를 통해 선보인 이지스오 장비의 성능을 개선해 상용망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최근 업그레이드했다.
오픈랜은 기지국 등 무선통신 장비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HW/SW)를 분리해 각각 다른 제조사의 장비 간 상호연동이 가능하게 하는 표준기술이다.
그간 하나의 장비사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공급하기 때문에 연동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었으나 다양한 장비사가 참여하는 오픈랜의 경우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원활하게 연동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오랜 시간과 인력이 필요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에 업그레이드한 이지스오를 활용하면 오픈랜 테스트 과정에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연동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고 연동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지스오는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신호를 분석해 오픈랜 공통 표준 규격을 기준으로 문제점을 검출하고 이상 여부를 판단한 후 장비 간 연동품질을 높이고 테스트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양사는 향후 오픈랜 기술 개발·상용화를 위한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다양한 제조사로 구성된 오픈랜 장비의 호환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검증 장비를 개발하고 실증함으로써 국내 오픈랜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 이상헌 NW선행개발담당은 “이지스오를 활용하면 다양한 제조사 장비들의 성능과 상호운용성을 단기간에 확인하고, 조기에 안정적인 5G 오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며 “다양한 장비와 솔루션을 통해 국내 오픈랜 생태계가 빠르게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노와이어리스 유민호 연구소장은 “이번 협업을 통해 오픈랜 시험검증 장비를 활용해 실제 통신망 환경에서 각 장비들의 상호운용성을 검증하고, 엔드투엔드 품질 분석에서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었다”며 “다양한 오픈랜 지원 장비 및 솔루션을 통해 국내 오픈랜 상용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텔, 내장 가속기 탑재 vRAN용 프로세서 출시
- 피코콤, 콘텔라 오픈랜(O-RAN) 장비에 SoC·SW 공급
- 노키아, “개방형 생태계 확장으로 O-RAN 확산 지원”
- 키사이트, O-RAN·UE 인증 테스트랩 ‘ritt7Layers’과 인증 서비스 개시
- SKT, 日 오사카 ‘O-RAN 얼라이언스’ 미팅서 6G 방향성 공유
- KT, 오픈랜 가상화 기지국 멀티벤더 연동 실증
- LGU+, 노키아·삼지전자와 옥외·인빌딩 환경서 5G O-RAN 테스트 완료
- LGU+, 델과 O-RAN 연구개발 맞손…‘MWC 2023’ 현장서 실무진 회의
- ETRI, 이달 ‘MWC 2023’서 6G 선도 기술 첫 공개
- 6G 시대, 2년 앞당긴다…과기정통부, “2026년 프리6G 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