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인도 생산 규모 70억 달러, 팀 쿡 “인도는 엄청난 기회”
애플이 지난해 출시한 아이폰14에 이어 올해 출시되는 아이폰15도 인도 현지공장에서 생산한다. 미국과 중국 간 긴장관계가 이어지면서 공급망 다변화를 모색하는 애플의 ‘탈중국화’도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내달 출시 예정인 애플 ‘아이폰15’가 인도 남동부 타밀나두주에서 생산을 시작했다고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블룸버그통신에 “타밀나두주 스피페럼부드르에 애플 공급사인 대만 폭스콘공장에서 이미 아이폰15를 인도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공급사이자 타타그룹이 인수한 페가트론·위스트론공장도 아이폰15를 곧 조립할 것이라고 알려졌다.
이는 중국공장에서의 출하 시점과 몇 주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이다. 예전의 6∼9개월 차이가 나던 것에서 크게 줄어든 것이라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애플은 2017년 대만의 애플 협력사인 위스트론, 폭스콘을 통해 인도에서 생산을 시작했지만 대부분 아이폰 구형 모델이나 저가향 모델이었다. 대부분의 아이폰은 여전히 중국공장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최근 인도에서 생산되는 모델이 늘었다. 인도공장 생산량은 올해 3월 기준 전체 7%를 차지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아이폰15의 인도 생산 규모는 수입되는 부품과 폭스콘공장의 원활한 생산라인 증가에 달려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애플은 최근 수년간 인도와 베트남 등지로 생산 다각화 프로젝트를 진행해 오고 있다. 공급망 다변화의 일환으로, 특히 2020년 코로나19로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중국 내 협력사의 생산 안정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미중 간 긴장관계도 이어지고 있다. 중국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는 미국을 겨냥해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은 지난 5월 미국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의 보안문제를 거론하며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친다”는 성명을 냈다.
이달 초 바이든 행정부도 ‘국가안보 보호’의 일환으로 미국 자본이 중국의 3개 분야(반도체/양자컴퓨팅/AI)에 대해 투자하는 것을 규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양국 관계는 복잡하게 꼬여가고 있다.
애플은 협력업체들에 인도, 베트남 등 타 아시아 국가에서의 생산을 더 늘려달라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지난 회계연도에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 규모를 약 70억달러로 늘렸다. 이는 전년비 약 3배 늘어난 것이다. 지난 6월 백악관에서 바이든 미국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난 팀 쿡 애플 CEO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인도가 “엄청난 기회”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 SK하이닉스·미디어텍, 모바일용 D램 ‘LPDDR5T’ 성능 검증 완료
- 실적발표 후 7% 하락한 애플 주가, 반등 이유 ‘있다?’·‘없다?’
- “아태지역 기업 C-레벨 70%, 생성AI 투자 적극 검토”
- 아마존·애플 2분기 호실적…빅테크 지표 개선으로 하반기 반등 기대감 ‘Up’
- “폴더블 폼팩터가 뜬다”…2027년 1억대 출하 기대감 ‘솔솔’
- 오픈AI, 챗GPT 안드로이드용 앱 출시…韓, 첫 대상국서 제외
- 스마트폰 시장 8분기 연속 하락세…하반기 반등 기대감 나오는 이유
- 챗GPT MAU 첫 감소세…“美 방학시즌, iOS 앱 출시로 트래픽 분산”
- 한국IDC, “1분기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동기비 15.6% 감소”
- SK하이닉스, 차세대 D램 ‘HBM3E’ 엔비디아에 샘플 공급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