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요 디지털 기업들과 함께 디지털 ESG 활동을 위한 ‘디지털 ESG 협의체’를 발족하고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협의체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NHN, 한국마이크로소프트(한국MS) 등 통신사·IT기업의 ESG 담당부서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5일 열린 발족식에서는 협의체 운영계획을 공유하고 NIA와 디지털 기업이 함께 디지털 ESG 협력 실천을 다짐하는 내용의 공동선언을 공유했다.
협의체는 ▲디지털 ESG 현안 공유 및 논의 ▲디지털 ESG 정책과제 발굴 ▲디지털 ESG 협력 활동 발굴 및 추진 ▲디지털 ESG 생태계 조성 및 대국민 홍보 강화 등을 통해 디지털 기반 ESG 활동이 확산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참여기관은 선언문을 통해 국가 사회가 처한 문제 해결과 미래 지향적 성과창출을 위한 디지털 ESG 활동을 강화하고 디지털 격차해소, 디지털 교육, 역기능 대응 등 디지털 포용성 제고를 위해 각 기관의 인프라 및 자원을 공동 활용하는데 동참할 것을 다짐했다.
특히 올 하반기에는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한 공동 캠페인, 사이버폭력·생성AI 윤리 등 디지털 역기능 대응 교육, 고령층·장애인 디지털 격차 해소 노력 등 디지털 ESG 협력 활동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NIA 황종성 원장은 “이번에 발족한 협의체는 디지털 ESG 활동에 민관이 협력하여 자원을 공유하고 함께 나누는 의미에서 중요하다”며, “NIA는 협의체 내에서 공공-민간 및 민간-민간 협력을 지원하는 허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NIA·업스테이지, 대규모언어모델(LLM) 생태계 활성화 ‘맞손’
- 정부 최상위 디지털 플랫폼, ‘DPG허브’ 설계 착수
- NIA, ‘2023 한국어 AI 경진대회’ 개최…내달 23일까지 접수
- 공공데이터법 제정 10주년…NIA, ‘2023 공공데이터 논문공모전’ 연다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K-PaaS 확장성 확인’ 획득
- 정부, 공공 수요로 초거대AI 활성화 기반 구축한다
- 6대 중점전략기술 선정한 ETRI, “임무중심 R&D로 혁신 선도”
- 과기정통부, AI 윤리·신뢰성 확산 활동 본격화
- 챗GPT(Chat GPT)가 쏘아올린 생성AI(Generative AI) 시대의 명과 암
- “신뢰성 있는 AI는 필수”…국표원, 산업 인공지능 표준화 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