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김영섭 대표가 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막한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모바일360 아시아태평양(M360 APAC)’ 콘퍼런스에서 통신사업자의 새로운 역할과 이를 위한 글로벌 협력을 제안했다.
GSMA가 개최하는 M360은 유럽·남미·아프리카·아시아 등 대륙별 모바일 산업 현안에 대한 어젠다를 정해 논의하는 글로벌 행사로 전세계 ICT 리더는 물론 정부·규제기관·OTT 기업 관계자 등 1천명 이상의 주요 인사가 참여하고 있다.
‘디지털 퍼스트 미래를 선도하라(Leading a Digital-first Future)’의 주제로 열린 이번 M360은 디지털전환(DX), 인공지능(AI), 6G, 핀테크 등 디지털 시대의 미래를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국내에서 처음 열리는 M360 APAC은 국내 대표 ICT 기업인 KT가 호스트 스폰서를 맡았다.
오프닝 기조연설은 ‘개방된 디지털 국가 선도’를 주제로 GSMA 마츠 그란리드 사무총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윤규 차관, KT 김영섭 대표, 삼성전자 네트워크 김우준 사장, 차이나모바일 양지에 회장 등 글로벌 ICT리더가 연사로 나섰다.
KT 김영섭 대표는 ‘통신사 주도의 디지털 패러다임 전환’을 주제로 미래 디지털사회에서 통신사업자들이 추구해야 할 노력과 국가 디지털경쟁력 확보를 위한 역할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지금까지 통신사(Telco)가 제공하는 연결은 IT를 포함해 최근 화두로 자리한 AI, 클라우드, 로봇, 메타버스 등 모든 신규 기술의 근간이 됐으나 통신은 물이나 공기처럼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그 가치가 쉽게 잊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통신사업자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그 위에 독점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수익을 얻는데 만족하는 동안 빅테크 기업은 텔코가 구축한 인프라에 메신저, OTT, 자율주행, 인터넷 금융 등 혁신 서비스를 내놓아 디지털 생태계의 주인이 됐다”고 진단했다.
특히 변하지 않으면 외부의 힘에 의한 ‘강제혁신’에 처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클라우드, AI, 자율주행 등 빅테크기업들이 주도하는 영역에서 대등한 IT역량을 축적하고 아직 초기 단계인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 헬스케어, 에너지 등 영역에서 주도권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KT는 디지털혁신 파트너라는 새로운 지향점을 설정하고 클라우드, AI고객센터, 보안, 메타버스, 교통과 모빌리티를 주요 사업영역으로 선정해 텔코가 중심이 되는 디지털 영역을 목표로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래 디지털 사회에서 통신사업자의 역할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시장 창출·선도를 위해 다방면의 고객사와 파트너사, 기술기업들과 협력하는 생태계 조성과 함께 글로벌 통신사업자 간 네트워크와 차세대 통신서비스 협력, 기술혁신 스타트업과 제휴 및 인수합병(M&A)을 적극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김 대표는 “KT는 32개 통신사와 함께 GSMA 오픈 게이트웨이에 참여해 개방형 API 시장을 열고 있다”며 “AI칩과 AI인프라 소프트웨어, 버티컬 데이터를 보유한 스타트업들과 함께 AI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개방성과 협력을 바탕으로 인류 삶의 가치를 증진하는 디지털 서비스를 선제 제시하는 것, 그것이 미래 텔코의 존재이유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KT, 제2차 임시 주주총회…김영섭 신임 대표이사 선임
- SKT, 생성AI 테크기업 ‘엔트로픽’에 1억 달러 투자…다국어 LLM 개발 ‘맞손’
- “전력시스템 디자인, 손실률 3% 확보로 지속가능성·TCO 절감”
- “아시아·유럽·중동 대표 통신사 AI연합체 출범”
- KT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 김영섭·박윤영·차상균으로 압축
- 네이버클라우드, 텔콤·시스코와 인니 텔코 클라우드 구축사업 ‘맞손’
- [MWC 2023] VM웨어, 5G 텔코 클라우드 플랫폼 혁신사례 공유
- AMD, 징크 RFSoC/MPSoC 제품군 확장…“텔코·장비기업 위한 테스트베드 오픈”
- “말로만 데브섹옵스(DevSecOps)”…표준화된 단일 툴 도입이 해결책
- 데이터 트래픽 폭증, “망 사용료 놓고 빅테크·OTT-텔코 갈등 깊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