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통계 발표, 인공지능(AI/ML) 출원량 27.2% 1위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4차 산업혁명 관련 8개(인공지능/빅데이터/IoT/디지털헬스케어/바이오마커/지능형로봇/자율주행/3D프린팅) 기술 특허출원이 10년간 연평균 14.7% 성장한 가운데 인공지능(AI/ML) 기술이 관련 영역을 견인하고 있다.

특허청이 최근 10년간(2013년~2022년) 4차 산업혁명 기술분야 특허출원 통계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의 특허출원은 2013년 7,057건에 불과했으나 2022년에는 2만4341건이 출원돼 10년간 약 3.4배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10년간 14.7%로 동기간 전체 특허출원이 연평균 1.2%씩 증가한 것에 비교하면 12배나 빠르게 증가한 것이다.

세부 기술 분야로서는 인공지능 분야가 가장 높은(27.2%) 비율을 차지했고 디지털헬스케’(23.0%), 자율주행(21.7%) 분야가 뒤를 이었다.

인공지능 분야의 2013년도 출원은 444건으로 8대 주요 기술 중 6번째에 불과했으나 2016년 후 급격히 늘면서 2022년에는 8,960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2016년은 딥마인드(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의 등장으로 주목받은 해이기도 하다.

인공지능 분야는 출원 증가율도 39.6%로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의 전체 출원 증가율(14.7%)을 훌쩍 뛰어넘어 인공지능 기술이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성장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통계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특징인 서로 다른 기술 분야 간의 융합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자료인용]
[특허청 자료인용]

융합기술의 출원량은 2013년에 128건에 불과했으나 연평균 37.8%씩 늘면서 2022년에는 2,294건이 출원되며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융합기술의 출원 증가세도 가팔라지고 있어 당분간 이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0년부터 인공지능과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의 융합이 두드러졌다. 2019년 360건에 불과했으나 2020년 795건, 2021년 1,116건으로 늘었는데 코로나19 이후 건강관리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해진 것이 요인으로 보인다.

특허청 전범재 인공지능빅데이터심사과장은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기술 동향 파악 및 효과적인 기술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 데 특허 통계를 활용하는 것은 필수”라며 “신성장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약진하는 데 필요한 특허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