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2021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Mobis Parking System, MPS)의 성능을 대폭 개선한 신버전 ‘MPS 1.0P(프리미엄)’을 공개했다.
19일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이 기술의 대표적인 기능은 ‘메모리 주차 지원(Memory Parking Assist, MPA)’이다. 운전자가 경로학습 모드로 주차를 실행하면 차량이 이를 스스로 학습해 다음부터 해당 주차공간에서 운전자가 원터치 조작만으로 자율주차가 가능하다는 게 현대모비스의 설명이다.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의 핵심은 영상 기반의 센서퓨전에 있다. 초음파센서와 SVM(Surround View Monitor) 카메라를 융합, 여기에서 얻은 정보로 차량의 위치측정과 지도생성을 동시에 하는 기술도 적용했다.
로봇공학에서 유래한 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여 약 100m에 이르는 저장거리를 지원하는 주행보조 기능을 구현했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고가의 레이더·라이더 센서 없이 초음파와 SVM 카메라만으로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기술적 완성도는 물론 비용 측면에서도 우위에 있어, 글로벌 수주는 물론 일반 차량에 대한 빠른 대중화도 기대했다.
MPS의 또 다른 핵심기술인 ‘원격 자동주차시스템(RSPA)’도 업그레이드됐다. 여러 양산차에 적용된 기존의 RSPA는 초음파 센서로 주차공간을 인식해 운전대를 잡지 않고도 버튼 하나로 직각 및 평행주차 등을 지원한다. 다만 초음파가 인지할 대상이 필요해 주차공간 주변에 다른 차량이 있어야 가능하다.
현대모비스는 영상 기반 센서퓨전을 통해 RSPA 2 버전에 주차선 인식 기능을 추가했다. 주변에 차량이 없는 빈 주차공간에서도 주차선을 인식해 자율주차를 지원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 기술은 최근 기아가 출시한 전기차(EV) SUV EV9을 비롯해 G90, GV60, 아이오닉6 등에 적용됐다.
현대모비스는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 개발 성과를 19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오토센스(AutoSens) 컨퍼런스’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는 “향후 완전무인 자율주차(Auto Valet Parking, AVP) 수준까지 연구개발을 이어 나갈 계획”이라며 “아울러 크랩주행, 제로턴 시연으로 주목받은 e-코너 시스템 등 도심형 자율주행 신기술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현대모비스, “美 실리콘밸리서 강소 모빌리티 스타트업 찾는다”
- LG전자 ‘SDC 2023’ 개막…“미래 준비 핵심은 SW 경쟁력”
- KT, 싱포스트와 MOU…디지털 물류로 글로벌 시장 공략
- “미래 스마트카 경험 엿본다”…LG전자, 모빌리티 기술 콘셉트 공개
- 현대모비스, “전동화 핵심부품 앞세워 유럽서 수주 2배 목표”
- [포토] IAA 현장 방문한 SK 최재원, “완성차OEM과 사업 협력안 모색”
- 현대모비스, 오토톡스와 5G 기반 V2x 통합제어기 개발
- AMD 자일링스 징크 MPSoC, 日 아이신 APA 시스템에 도입
- 기술 레벨3 자율차 상용화 움직임, ADAS 관련 특허출원 증가세
- LGU+, 에이스랩과 자율차 진단기술 개발…하반기 실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