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 인사이트CXR’ 활용한 세브란스병원 연구 소개…AI 기반 폐결핵 진단 정확성 향상 입증
루닛이 흉부 엑스레이 인공지능(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CXR’을 활용한 폐결핵 진단 연구결과가 사이언티픽리포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사이언티픽리포트는 글로벌 과학학술지인 네이처의 자매지다. 2018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4년간 세브란스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18세 이상 폐결핵 의심 환자 8374명의 흉부 엑스레이 영상 판독을 ‘루닛 인사이트CXR’로 보조한 결과다.
일반적으로 폐결핵 진단은 흉부 엑스레이 촬영 후 객담(가래) 검사를 통해 이뤄지는데, 응급실 등 긴급한 의료 환경에서는 객담(가래)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부담이 됐다. 폐결핵 환자의 경우, 신속한 격리가 이뤄져야 하기에 보다 빠른 진단에 대한 필요성이 오구된 것이다.
연구결과 현미경으로 결핵균을 직접 관찰하는 객담 도말 검사 시 실제 폐결핵 사례를 정확하게 진단한 민감도는 평균 41.2%, 비교적 빠르게 결과를 얻는 PCR 객담 검사 시에는 22.6%의 민감도를 나타냈다.
반면, 루닛 인사이트CXR을 통한 판독 민감도는 70.6%로, 기존 검사 방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흉부 엑스레이 판독에 AI인 루닛 인사이트 CXR을 활용했을 때, AI 모델의 성능평가 지표 중 하나인 AUROC이 평균 0.924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AUROC 수치는 1에 근접할수록 판별력, 즉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는 게 루닛의 설명이다.
루닛은 "이번 연구결과는 루닛 AI 솔루션이 기존의 폐결핵 진단 방식을 보완하고, 조기 진단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폐결핵 진단을 위한 AI 도입은 의료진이 더 빠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밝혔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번 연구는 AI가 폐결핵 진단 과정에서 속도와 민감도를 높여 긴급 상황에서 환자의 빠른 진단, 격리와 조기 치료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폐결핵은 대표적인 개발도상국형 질병으로,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에서 AI 기술 도입은 폐결핵 관리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결핵의 조기 발견 및 퇴치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021년 결핵 검진 가이드라인을 최신화하고 15세 이상 결핵 검진자의 흉부 엑스레이 분석에 사람이 판독하는 대신 AI 기반의 검출 보조 소프트웨어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관련기사
- 루닛, 싱가포르 의료AI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 최종사업자 선정
- 뷰노, 우즈베키스탄 군 병원에 의료AI 솔루션 공급
- 루닛 3분기 실적발표, 누적 매출 196억원…“해외시장 중심 성장 이어갈 것”
- 루닛, 美 암 정복 프로젝트 참여한다
- 딥노이드, 의료기관 ‘딥뉴로’ 도입 본격화 기대
- 카카오브레인, 아주대병원과 의료분야 초거대AI 모델 연구·실증 나선다
- 구글 vs MS, 플랫폼 서비스 경쟁서 의료AI로 ‘확전’
- 미소정보기술, AIoT 국제전시회서 신규 솔루션 공개
- AI의료기기 ‘뷰노메드 딥브레인’, 美 FDA 인증 획득
- SKT ‘엑스칼리버’, 日 시장 진출…애니콤과 파트너십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