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완성차OEM이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인 사이버보안 관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LG전자는 자회사 ‘사이벨럼’과 함께 개발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CSMS) 콕핏 플랫폼을 내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CES 2024’에서 첫 공개한다고 14일 밝혔다.
CSMS 콕핏 플랫폼은 LG전자의 사이버보안 역량과 사이벨럼의 클라우드 기반 사이버보안 분석 솔루션 기술이 집약된 보안 관리 솔루션이다. 차량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SW/HW)를 아울러 차량의 전체 생애주기 동안 사이버보안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관제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이 플랫폼은 차량에 탑재된 제품의 사이버보안 현황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해 해결한다. 신규 보안 위협을 포함한 잠재적 위협 요소가 실현되지 않도록 대응책을 제시하고 조치 현황을 점검해 보안 신뢰도를 향상시킨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차량의 개발 초기부터 양산 이후까지 20년 가량의 제품 생애주기 동안 모든 보안 활동과 조치 이력을 데이터베이스(DB)로 관리하고, 이렇게 수집된 빅데이터는 보안 관련 기술 및 사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LG전자는 “완성차 업체는 이 플랫폼을 사이버보안 위협으로부터 차량 시스템을 보호하고 차량과 탑승객을 안전하게 지키는 데 활용할 수 있고, 커넥티비티 중심의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소프트웨어정의차량(Software Defined Vehicle, SDV)으로 진화하고 있는 모빌리티 산업계에서 차량 내 데이터 보안에 대한 중요성도 커졌다.
유럽경제위원회(UNECE)가 발표한 차량 사이버보안 법규인 ‘UNECE R-155(UNECE Regulation No.155: Cybersecurity Regulation)’에 따르면 내년 7월부터 유럽경제위원회 협약국에 출시되는 모든 차량은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인증을 받아야 한다.
사이벨럼 슬라바 브론프만 CEO는 “CSMS 콕핏 플랫폼은 완성차 고객에게 사이버보안 관리에 대한 복잡성을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VS사업본부장 은석현 부사장은 “LG전자의 전장사업 경쟁력과 사이벨럼의 자동차보안 전문성을 결합한 결과물을 선보이게 됐다”며 “차량 사이버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보다 효과적인 솔루션을 선보이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BYD도 AWS 쓴다”…차량 플랫폼용 클라우드 사업자로 AWS 선정
- 하만, 오디오 기술·플랫폼 기업 ‘룬’ 인수
- LG전자, 사내 해킹대회 본선…사이버보안 역랑 강화 속도전
- 아우토크립트, SDV 보안 솔루션 개발 착수
- 삼성, 美 실리콘밸리서 초거대AI 겨냥한 HBM3E ‘샤인볼트’ 첫 공개
- LG전자 조주완, 獨 ‘IAA 2023’ 현장서 마그나와 전장사업 협력 논의
- LG마그나, 헝가리에 전기차(EV) 부품 공장 건설한다
- SV넷 성능 고도화…스트라드비젼, ‘동탄 자율주행 시험센터’ 개소
- “자율차 인프라 구현”…LGU+, 4개 부처 주관 실증사업 과제 수주
- 케이사인, V2x 자동차·C-ITS 보안·인증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