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2일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과 13개 협약 계열사 CEO가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고 새로운 CA협의체 구성안을 공유했다. CA협의체는 그룹 독립기구로 카카오 그룹 내부의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컨센서스를 형성하는 조직이다.
카카오에 따르면, CA협의체는 기존의 자율경영 기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카카오로의 전환을 목표로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과 정신아 대표이사 내정자가 협의체 공동의장을 맡는다.
협의체에는 김범수 의장이 직접 맡고 있는 경영쇄신위원회를 비롯해 각 협약사의 KPI, 투자 등을 검토하는 전략위원회 등 다수의 위원회도 들어선다.
각 위원회는 영역별로 그룹 차원의 논의해야 할 의제를 발굴하고 방향성과 정책 관련 의견을 제시하게 된다. 위원장은 이러한 내용을 참고해 각 협약 계열사에 참고·권고의견을 결정하고 담당 분야에 대한 그룹차원의 문제를 해결하고 책임지는 역할을 맡는다.
구체적인 위원회 구성 및 개별 위원회의 위원장 인선은 논의를 통해 조만간 마무리지을 예정이다.
카카오를 포함해 13개 협약 계열사 CEO는 경영쇄신위원회를 기본으로 원하는 위원회를 최대 3개 선택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협의체 산하에는 협약사 CEO를 비롯한 그룹 차원의 임원 인사를 지원하고 그룹협의회를 운영하는 협의체 총괄부서도 설치하기로 했다.
김범수 CA협의체 의장 겸 경영쇄신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사회 눈높이와 신뢰에 부합하는 성장 방향과 경영체계가 필요하다”며 “인적 쇄신을 비롯해 거버넌스·브랜드·기업문화 등 영역에서의 쇄신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신아 CA협의체 의장 겸 대표이사 내정자는 “CEO의 위원회 참여를 통해 그룹의 의사결정 맥락 이해를 높이고 높아진 해상도를 바탕으로 내부통제를 강화하게 될 것”이라며 “그간의 느슨한 자율경영 기조를 벗어나 구심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은 앞서 지난달 11일 “카카오가 사회와 이해관계자들의 기대와 눈높이를 맞추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인 개선과 개편으로는 부족하다. 과거와 이별하고 새로운 카카오로 재탄생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혁신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틀 뒤인 같은 달 13일에 카카오는 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CA협의체 내 사업총괄을 맡아온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를 단독대표 내정자로 보고한 바 있다. 정 대표는 올해 3월 예정돼 있는 이사회·주주총회를 거쳐 공식 대표로 선임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카카오, ‘2023 기술윤리 보고서’ 발간…거버넌스 체계 고도화
- 다음 뉴스 개편…“모바일 첫 화면, 구독 언론사로 개인화”
- ESG는 선택 아닌 필수…IT업계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 ‘수익성’ 취하고 ‘도덕성’ 저버린 공유 모빌리티…지속가능한가?
- 네이버·한국은행, IT 기반 금융·경제분야 디지털전환(DT) ‘맞손’
- 카카오, “소셜임팩트·인력 연결로 사회문제 해결”
- 팀네이버, “5년 간 AI 논문 347편…피인용 수 3만회”
- 카카오, 신임 수장에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 내정
- 카카오 김범수, “그룹 거버넌스 개편…사명 바꿀 각오로 임하겠다”
- 카카오, 5차 비상경영회의…김범수 “공동체 차원 제도 개편 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