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개 기관·443개 기관 참여…전년비 규모 3배 이상
정부가 이달 9일(현지시간)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 역대 최대 규모의 통합 한국관을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CES 행사장에 마련되는 통합 한국관에는 지방자치단체·유관기관·대학교 등 총 32개 기관과 443개 기업이 참여한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로, 지난해(135개) 대비 3배 이상 규모가 커진 것이다.
올해는 중소벤처기업부·서울시 등이 첫 참여한다. CES 참가 기업의 통합 한국관 참가율이 작년 19%에서 올해 58%로 높아졌다.
산업부는 “많은 수출기업이 통일된 대한민국 브랜드 위상을 수출 마케팅에 활용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올해 CES에는 삼성·SK·현대차·LG를 비롯한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등 총 760여개의 한국 기업이 참가한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와 미국산업디자이너학회(IDSA)의 CES 혁신상을 수상한 한국기업은 143곳이다. 지난해 11월에 발표된 310개 수상 기업 중 한국기업은 46.1%에 달했다. 수상 기업 중 13곳은 통합 한국관에 참여한다.
코트라는 CES 본행사에 앞서 현지 전문가를 대상으로 통합 한국관 세미나를 연다. 세미나에서는 미국 소비재 가전시장 전망과 미국 스타트업 투자 현황 등에 대한 정보가 공유된다.
10일에는 국내 스타트업의 북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K-이노베이션 데이’ 행사가 열린다. 사전에 선정된 스타트업 15곳이 월마트·IBM·KPMG 등 글로벌 기업과 주요 벤처캐피탈(VC)을 상대로 IR피칭에 나선다.
조익노 산업부 무역정책관은 “통합 한국관 운영을 통해 수출 활력 제고와 수출 저변 확대를 위해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며 “앞으로도 해외 전시회 등에 통합 한국관 구축을 확대해 국내 기업의 수출 마케팅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360도 폴더블에 55인치 투명OLED까지…삼성D·LGD, ‘CES 2024’서 격돌
- 삼성, 테슬라와 ‘CES 2024’서 스마트싱스 에너지 협업사례 공개
- SK 최태원, “짧아진 반도체 사이클 대응가능한 방법론 찾아야”
- LG NOVA, 美 웨스트버지니아주와 MOU…“스타트업·신사업 육성 협력”
- SK하이닉스, ‘CES 2024’서 HBM3·CXL 등 AI 메모리 기술 선봬
- 특허청, 5억원 규모 K-패션 위조상품 6천여점 압수
- 제주혁신센터, 도쿄서 제주 스타트업 IR데이…현지 공략 본격화
- 한·라오스 온실가스 국제감축 양자회의…MOU 체결 제안
- “기술 제값 받도록 하겠다”…특허청, 지식재산 평가관리센터 신설
- ‘CES 2024’ 전시장 꾸린 삼성…“AI시대 여는 혁신 기술·제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