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 참가해 미래 AI 인프라의 핵심인 초고성능 메모리 솔루션을 공개한다고 3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이번 CES에서 ‘메모리 센트릭(Memory Centric)’으로 대변되는 회사의 미래 비전을 부각할 것”이라며 “AI 시대 기술 진보에 따라 강조되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의 중요성과와 이 분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당사의 경쟁력을 세계에 알리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는 SK,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등 SK그룹 주요 멤버사와 함께 ‘SK원더랜드(Wonderland)’를 타이틀로 하는 공동 전시관을 마련하고 HBM3E 등 주력 AI 메모리 제품들을 전시한다.
HBM3E는 SK하이닉스가 지난해 8월 개발에 성공한 현존 최고 성능의 메모리로 올해 상반기 양산에 들어간다.
그룹 ICT 멤버사와 공동으로 CES 행사장 내 별도로 'SK ICT 패밀리 데모룸'을 마련해 AI 기술력을 선보인다.
SK하이닉스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CXL 메모리 ▲CXL 기반 연산 기능을 통합한 메모리 솔루션 CMS(Computational Memory Solution) 시제품 ▲프로세싱인메모리(PIM) 반도체 기반의 저비용·고효율 생성형 AI용 가속카드 AiMX 등을 전시·시연한다.
CXL 메모리는 HBM과 함께 AI 메모리로 각광받는 제품이다. SK하이닉스는 DDR5 기반 96GB, 128GB CXL 2.0 메모리 솔루션 제품을 올 하반기 상용화해 AI 고객들에게 공급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 김주선 사장(AI인프라 담당)은 “SK하이닉스의 기술력을 AI 본고장인 미국에서 선보이게 돼 기쁘다”며 “글로벌 협력을 강화해 AI 메모리 리더십을 지키면서 실적 반등을 본격화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금융·핀테크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AMD, 알베오 UL3524 가속카드 공개
- “생성AI 서비스에 특화”…SK하이닉스, GDDR6-AiM 기반 가속카드 시제품 첫 공개
- 팹리스 스타트업 파네시아, 160억 규모 투자유치 성공
- AI 워크로드 처리 성능 강화…인텔, 차세대 제온 프로세서 공개
- 생성AI(Gen AI) 열풍, 반도체 시장 플레이어 웃는다
- 美 팹리스 그로크(Groq), “1세대 LPU 삼성파운드리 4나노 공정 생산”
- 팹리스 스타트업 블루닷, 오픈미디어얼라이언스 멤버 합류
- “5나노 ASIC 탑재로 압축효율 최적화”…AMD, 알베오 MA35D 가속기 공개
- [단독] 퓨리오사AI 백준호, “2세대 NPU 내년 상용화, GPU와 전 영역서 경쟁”
- 4세대 에픽(EPYC) 프로세서 공개한 AMD 리사 수, “제 두 번째 마법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