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앱으로 전체 솔루션 관리, 필요 서비스만 골라서 사용 가능
LG유플러스가 소상공인(SOHO) 고객을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AI) 통합 솔루션 ‘우리가게패키지 AX’를 출시하고 관련 시장에서 입지 확대에 나선다.
이 패키지는 전화예약, 주문, 키오스크 결제 등 소상공인이 주로 사용하는 기능을 한 번에 통합 관리하도록 6개 기능(U+AI전화/U+AI예약/U+웨이팅/U+키오스크/U+오더/U+포스)으로 구성됐으며 우리가게패키지 앱에서 필요한 솔루션만 골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단순히 매장에 DX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토탈 솔루션에 대한 고객 니즈가 커진 것을 확인하고 패키지를 출시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U+AI전화는 전화 로봇이 매장 위치, 영업시간 등 고객들로부터 자주 나오는 질문을 자동으로 대답하며, U+AI예약은 네이버·카카오 등 다양한 경로로 들어오는 예약을 AI가 매장의 테이블 수와 영업시간 등을 고려해 통합 관리한다.
U+웨이팅은 자리가 없어 고객이 대기해야 할 때 줄을 서지 않게 도와주는 기능으로 U+AI전화, U+AI예약과 연동해 원격으로 대기를 접수하는 기능이 상반기 중 추가된다.
LG유플러스는 매장 대기·취소 고객에게 인사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이벤트를 안내할 수 있는 사후 고객 관리 기능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U+키오스크와 테이블 오더 서비스 U+오더는 고객이 응대를 기다리지 않고 주문부터 결제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돕고, 소상공인들의 주문 입력, 결제, 매출 관리 등을 지원하는 U+포스(POS)도 함께 출시한다. 각 솔루션별 월 이용료는 상이하며 기기 구매 비용은 별도 책정된다.
LG유플러스는 “소상공인이 사용하는 매장 관리 솔루션을 한곳에 모으고 AI를 통한 디지털전환(DX)으로 편의성을 높였다”며 “소상공인도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해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고 밝혔다.
박성율 LG유플러스 그룹장(전무)은 “각 분야별 선도 사업자와 제휴를 확대해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소상공인의 데이터 기반의 AX 전환을 가속화하며 함께 성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경쟁사 계약하면 패널티…공정위, VAN 불공정 약관 시정
- 중기부, 모태펀드 정시 출자…총 9천억원 규모 벤처펀드 결성
- 지니TV, 마이프차와 ‘프랜차이즈TV’ 론칭
- 중기부, 해외시장 진출 소상공인에 사업화 자금 최대 1억원 지원
- KT, 2세대 테이블오더 서비스 ‘하이오더2’ 출시…“디자인·성능 대폭 개선”
- 큐텐, 쇼핑 플랫폼 ‘위시’ 1억7300만 달러에 인수
- 5천억 황금알 시장 잡는다…LGU+, 탈통신 미래시장 ‘AICC’에 B2B 역량 집중
- LGU+, 더본코리아와 ‘식당연구소’ 개소…“DX솔루션 테스트베드로 활용”
- KT, 소상공인 결합상품 ‘으랏차차 패키지’ 5일 출시
- LGU+, 월 정기 혜택 프로그램 ‘유플투쁠’ 론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