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와이파이6E 상용화를 위해 추진해 온 6GHz 대역의 고정·이동 방송중계용 무선국 주파수 재배치를 완료하고 와이파이7 도입을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앞서 지난 2020년 6GHz 대역 1200MHz 폭을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비면허 용도로 공급하며 와이파이6E 상용화를 지원한 바 있다. 2021년 이후 국내에 출시된 주요 스마트폰은 와이파이6E를 지원하고 있다.
다만 와이파이6E 활용을 위해 공급이 필요한 6GHz 대역은 기존에는 고정‧이동 방송중계용으로 사용되고 있었음에 따라 혼·간섭 방지를 위해 재배치 필요성이 제기됐고, 방송국에 대한 손실보상도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2020년 12월부터 방송사와 협력해 고정·이동 방송중계 주파수 재배치를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다. 올해 3월까지 3단계에 걸쳐 총 184국의 이동 및 고정 방송중계용 무선국의 주파수를 회수‧재배치했으며, 현장실사를 통해 이행여부 확인 후 총 140억원의 손실보상금을 지급 완료했다.
과기정통부는 동일 대역에서 차세대 와이파이7 도입이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 개선도 추진하기로 했다.
와이파이7은 와이파이6E 등 기존과 동일한 대역을 사용하나 와이파이6E 대비 채널 대역폭이 2배 확대됐고 변조·스트리밍 방식 개선돼 속도가 와이파이6/6E 대비 최대 4.8배 향상될 수 있는 표준으로 알려져 있다.
과기정통부는 와이파이7 표준안에 부합하도록 채널당 대역폭을 기존 160MHz에서 320MHz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기술기준을 올해 상반기까지 개정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와이파이7을 적용한 칩셋, 공유기(AP), 스마트폰 등이 상용화되고, 와이파이의 적용범위도 기존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한정된 영역을 벗어나 확장현실(XR),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최병택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와이파이는 일상에서 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필수재임은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영역으로 확산돼 디지털혁신의 기반이 되고 있다”며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와이파이 성능향상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KT, ‘월드IT쇼 2024’ 참전…미래 AICT 기술 대거 전시
- LLM 취약점 찾아라…‘생성형 AI 레드팀 챌린지’ 성료
- 과기정통부, 中企 지원사업 개편…지역 전략 산업 정보보호 내재화 촉진
- 퀄컴, ‘임베디드월드 2024’서 AI 지원 산업용 플랫폼 소개
- 방통위, “통신3사 구조요청 위치정보 품질·응답시간 개선”
- 통신사 전환 5G SA 코어 감소…5G 수익성 의문 ‘걸림돌’
- KT, 5G·위성 주파수 대역서 동작하는 RIS 기술 개발
- 삼성, ‘AI-RAN 얼라이언스’에 창립멤버 참여
- 남미·동남아 지역서 크리덴셜 유출 증가세 ‘주의보’
- 타바고테크, 노르딕 nRF SiC·PMIC 기반 자산 트래커 ‘터프’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