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플랫폼 등 미디어 특화 AI기술 공개
예능은 ENA, 드라마는 KT스튜디오지니 오리지널IP 확보

KT 미디어플랫폼본부장 김훈배 전무가 'AI 혁신 파트너, KT 종합미디어사업자로 도약'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KT]
KT 미디어플랫폼본부장 김훈배 전무가 'AI 혁신 파트너, KT 종합미디어사업자로 도약'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KT]

KT그룹이 AICT 컴퍼니 전략에 속도를 낸다. 그룹 차원의 미디어 사업을 혁신하고 K-콘텐츠 확산을 위한 투자도 강화한다.

KT는 스카이라이프티브이(skyTV), KT스튜디오지니와 29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에서 ‘KT그룹 미디어데이’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KT는 현장에서 KT그룹 미디어 밸류체인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한 혁신 서비스를 소개했다. skyTV는 AI 보이스로 만든 ENA 채널의 새로운 슬로건과 예능 라인업을 공개하고 KT스튜디오지니는 드라마 라인업과 글로벌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KT는 미디어에 특화된 KT만의 AI기술을 바탕으로 콘텐츠 투자·제작·마케팅·관제 등 미디어 사업 전반의 AI 전환을 주도할 것을 밝혔다. 현장에는 KT 미디어플랫폼사업본부장 김훈배 전무, skyTV 김호상 대표, KT스튜디오지니 김철연 대표 등 KT그룹의 미디어 사업 관련 주요 임원들이 참석했다.

이날 KT는 IPTV 업계 최초로 AI로 영상을 분석하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B2B 종합 미디어 솔루션(매직플랫폼)을 공개했다.

KT는 “이를 활용해 AI 오브제북’을 제작했다”며 “밀리의서재 전자책에서 AI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AI 보이스 스튜디오에서 더빙 목소리를 합성, 지니뮤직이 생성AI로 제작한 배경음악을 입혀서 완성된다”고 소개했다.

고객 맞춤형 기능도 강화한다. AI로 특정 인물이나 노래나 춤추는 장면만 선택해 볼 수 있는 ‘AI 골라보기’ 기능을 하반기 내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AI 인프라가 없는 다른 사업자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 형태로 제작하고, 특정 기능은 API 형태로 제공된다. 온디바이스AI 셋톱박스도 하반기 중 공개할 예정이다.

KT는 그룹 미디어 그룹사 간 시너지 성과도 공유했다. KT가 제작해 지니TV를 통해 방영한 오리지널 콘텐츠 ‘신병 1·2’의 누적 시청 횟수가 지난달 기준 1,200만회를 돌파했다. 오리지널 드라마의 대본집과 오디오북이 밀리의서재에서 출시되고 지니뮤직이 OST 제작에 참여하는 등 그룹 전반의 콘텐츠 선순환 구조를 확립했다고 KT는 소개했다.

KT 미디어 그룹사는 올해 제작 역량을 극대화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예능 제작은 skyTV가 주도하고 드라마는 KT스튜디오지니가 담당하는 K-콘텐츠 양 날개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

행사에서는 KT의 AI 보이스 스튜디오 서비스를 바탕으로 개발된 AI 보이스 ‘에나’의 첫 번째 목소리로 제작된 ENA 채널의 새로운 슬로건(매일 새로운 ENA)도 소개됐다.

KT스튜디오지니는 오리지널 지재권(IP)을 지속 강화하고 다양한 형태로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새로운 전략(Genie’s Next)을 공유했다.

이를 위해 KT스튜디오지니는 대만 제작사 스튜디오76 오리지널 프로덕션스, 스트롱 프로덕션스, 방송사 갈라 텔레비전과 2022년 방영된 ‘굿잡’ 리메이크 공동제작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올해는 KT스튜디오지니가 자체 기획한 오리지널 IP들을 드라마화해 본격 선보일 예정이다. 첫 시리즈 공모전 대상작인 ‘가석방 심사관 이한신(tvN 방영)’을 시작으로 2025년에는 ‘라이딩 인생’, ‘존버 닥터’, ‘로드 오브 머니’ 등이 순차 방영된다.

KT 미디어플랫폼사업본부장 김훈배 전무는 “미디어 사업은 통신, AI와 함께 KT의 3대 핵심 사업 중 하나로 그룹의 미래를 이끌어갈 중추적인 사업”이라며 “그룹 간 시너지에 기반을 둔 미디어 밸류체인 위에 독보적인 AI기술을 더해 앞으로도 시장을 리딩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