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에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네이버 이용자는 네이버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활용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실물 신분증 대비 높은 편의성과 보안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으로 블록체인 기반 DID(Decentralized Identity) 기술을 적용하여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공공, 금융, 병원, 편의점 등 실물 신분증이 사용되는 온·오프라인 분야 현행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지닌다.
모바일 신분증은 지문, 안면인식 등 생체인증 기술이 적용됐고 도난·분실 신고 시 모바일 신분증이 자동 정지되기 때문에 도용 방지에 효과적이다.
현재 행정안전부는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을 발급하고 있으며 12월27일부터는 17세 이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주민등록증도 발급할 예정이다.
네이버 전자인증센터 황지희 리더는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통해 신분 확인이 필요한 상황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네이버 생태계의 다양한 서비스, 결제, 제휴처 혜택 등과의 연계를 통해 혁신적인 사용자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혁신·도전적 선도형 R&D 총괄 ‘혁신도전 추진 특위’ 출범
- 하나금융, 케이웨더와 ‘기후리스크 관리 SW’ 개발
- 제1차 SW 공급망 보안 포럼…과기정통부 “가이드라인 확산안 논의”
- 과기정통부·행안부, 공공 정보시스템 혁신 ‘맞손’…협의회 발족
- 아콘소프트 ‘칵테일 클라우드’, 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기술 연동·검증 완료
- 디지털플랫폼정부위, ‘글로벌 DPG 얼라이언스’ 킥오프 미팅
- 정부, AI·6G 등 국가 표준화에 올해 2,271억원 투입
- 한국, 원격근무 적합성 전세계 17위
- “정부 모바일 신분증, 삼성페이에 탑재된다”
- 하나금융·삼성, 디지털금융 활성화 협력…고객중심 금융생태계 확대 ‘맞손’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