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R 기업 미르, 산업 현장 최적화 이슈 해결로 시장 공략
자율이동로봇(AMR) 제조기업 미르(Mobile Industrial Robots, MiR)가 단일 소프트웨어(SW)로 광범위한 제어가 가능한 AMR 제품 포트폴리오를 앞세워 국내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다.
미르는 12일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자사 첨단 AMR 포트폴리오와 향후 시장 공략에 대한 비전을 비전을 공유했다. 미르는 소형 부품 운송에서 무거운 하중 이송에 이르기까지 250~1,350kg의 탑재량을 갖춘 다양한 종류의 AMR을 글로벌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최근 엔비디아 젯슨 AGX 오린 기반으로 설계, 팔레트 감지 기능이 적용된 ‘MiR1200 팔레트 잭(Pallet Jack)’과 로봇팔의 협업 기능과 AMR의 이동성을 결합한 ‘모바일 코봇(Mobile Cobot)’을 공개, 포트폴리오도 확대 중이다.
이날 브리핑 현장에서 AMR 동향 발표자로 나선 케빈 뒤마 미르 제품 담당 부사장은 “전세계적으로 핵심 생산영역에서 AMR의 도입이 늘고 있다. 5G 인프라의 확장, 생성AI 기술 도입 등으로 스마트한 AMR 구현이 가능해진 현재,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AMR에 요구하는 기술적 니즈도 강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규모 연구개발(R&D)·지원팀을 운영하는 미르는 산업의 변화에 맞춰 대규모 자율이동로봇(AMR)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필요한 전문성을 자사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는다. 현재까지 약 9천대의 미르 AMR 제품이 산업 현장에 도입됐다.
로봇 하드웨어/소프트웨어(HW/SW)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함께 글로벌 파트너 에코 시스템인 미르고(MiRGo)도 운영 중이다.
포이 퉁 탕 미르 아태지역 세일즈 부사장은 “첨단 AI 기반 팔레트 감지 기능이 적용된 MiR1200 팔레트 잭은 3D 비전을 이용해 팔레트를 식별하고 전례 없는 정밀도로 팔레트를 픽업·운송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의 AMR과 통합이 가능하고 미르 데크 적재화물(Deck Load) AMR과 상호운용되도록 설계된 MiR1200 팔레트 잭은 다수 로봇으로 복잡한 작업 프로세스를 처리해야 하는 대규모 현장에 최적화 설계됐다는 게 미르의 설명이다.
로봇팔의 협업 기능과 AMR의 이동성을 결합한 모바일 코봇도 이날 국내에 최초 공개했다. 모바일 코봇은 유니버설로봇의 관절 협동로봇을 미르의 AMR에 탑재한 형태로 구현됐다.
한국 비즈니스 총괄인 이주연 이사는 “노동시간 감소, 경쟁심화 등 구조적 변화가 극심해진 현 상황에서 제조업계는 이 변화와 글로벌 경쟁에서 대응에 나서고 있다”며 중소규모 위주의 국내 제조업 상황에 맞춰 다양한 제품군, 리스 솔루션 등을 제공하며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이사는 “한국 특유의 요인을 다루면서 현지 요구, 선호도에 맞춰 브랜딩화에 나설 계획”이라며 “이러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브랜드 가시성과 미디어 친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시장에서 요구하는 기술적 이슈를 충족하는 솔루션 보급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ETRI, 모바일 협동로봇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 유통 5.0 시대 도래…“디지털화에 따른 유통·소비재 기업 간 격차 커진다”
- 창립 10주년 미르, “자율이동로봇으로 물류·유통 혁신 선도”
- 과기정통부, SW 진흥전략 발표…“전 국민 디지털 역량 키운다”
- 자율이동로봇(AMR)·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5대 기술 트렌드
- 미르, 로봇 운영 최적화 툴 ‘미르 인사이트’ 공개
- 모벤시스, 美 AMR 제어 테크 스타트업 ‘스카이라’ 인수
- 클로봇, 물류로봇사업부 신설…전문관제 솔루션 개발 집중
- 로보틱스 기업 미르, 물류센터 타깃 ‘자율이송로봇’ 2종 공개
- 한컴MDS, 지능형 로봇기업 ‘코어벨’ 인수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