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로 인한 전략 수요 대응 지원
에너지효율 극대화·안정성 향상
슈나이더일렉트릭이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냉각 솔루션 제품군을 공개했다. 최근 인공지능(AI) 열풍은 데이터센터의 전력 요구를 높이는데, 효율적 열 관리로 데이터센터의 전력 요구를 경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성AI의 인기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을 증가시킨다. AI 연산을 위해 GPU, CPU 등의 작업량이 늘면서 막대한 열이 발산되고 더 많은 전력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약 45%가 데이터센터의 열을 식히는 ‘쿨링’에 사용된다. 효율적인 열 관리와 전력 비용 감소를 위해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시장은 매년 20~30%의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이 공개한 ‘프리쿨링 냉동기’는 실외 공기를 활용해 간절기나 겨울철에 압축기의 기동을 최소화하고, 팬과 펌프를 활용해 냉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데이터센터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통적인 공랭식 냉각 솔루션은 평균 전력사용효율성(PUE)이 1.5를 상회하지만, 프리쿨링 냉동기는 PUE를 1.2까지 낮출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벽 자체를 팬으로 구현할 수 있는 빌트인 타입의 ‘팬 월’ 솔루션도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팬 월은 공기와 냉수 코일이 맞닿는 면적을 넓힐 수 있어 전통적인 항온·항습기 보다 효율적인 쿨링을 지원한다.
IT장비(랙)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이를 모니터링하는 소프트웨어(SW)로 구성된 쿨링 옵티마이저는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온도를 측정해 통합적인 에너지 효율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센터 내 IT 부하에 필요한 만큼의 냉각을 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전력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슈나이더일렉트릭은 설명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코리아 최성환 본부장은 “AI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른 현재 데이터센터의 열 관리를 통한 에너지 절감은 필수요소”라며 “다양한 쿨링 솔루션을 통해 데이터센터의 운영비용 절감은 물론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에너지 효율성 20% 개선”…슈나이더, 데이터센터용 컨테인먼트 시스템 공개
- 슈나이더, 獨 윌로에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 공급
- 슈나이더, ESS용 이중 변환 ‘APC 이지UPS 온라인’ 출시
- 슈나이더, 남녀고용평등 우수기업 선정
- LGU+, 파주 IDC 구축…“생성AI 확대 등 수요 증가에 선제 대응”
- 전세계 위협하는 온실가스…기후테크 스타트업이 뜬다
- KT, 인공지능(AI) 기반 전력 절감 기술 3종 공개
- SKT, SK엔무브·아이소톱과 액체냉각 기술 개발 ‘맞손’
- “2024년 데이터센터 업계 키워드는 인공지능(AI)과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한 미래 데이터센터 구현을 지원하는 액침냉각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