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보문화의 달’을 맞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지털 접근성 개선 사례와 국내외 동향을 논의하는 ‘디지털 접근성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25일 오후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을 주제로 국내외 접근성 정책 현황을 소개하고 가전제품, 모바일앱,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디지털 접근성 개선을 위한 사례와 기차역·도서관 등 생활밀착분야에서 사용 중인 공공 키오스크의 개발 사례가 공유됐다.
디지털 접근성은 장애인·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신체적·인지적 제약에 의한 불편함 없이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접근성 컨퍼런스는 2021년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모바일앱과 키오스크 등에 대해 장애인이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접근‧이용할 수 있게 하는 편의제공의무가 신설되면서 디지털 기술을 통한 장애인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기업의 사례와 최신 법‧기술 동향을 공유하기 위해 지난해 첫 개최됐다.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생성AI와 같은 디지털 신기술이 각종 사회 서비스에 빠르게 적용되면서 고령자나 장애인 등 신체‧인지적 제약을 가진 국민들은 기술과 서비스의 접근과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또 다른 차별과 소외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디지털 접근성 개선을 포함한 디지털포용 정책으로 보편적인 디지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 소외계층 경제적 기회 확대에 기여”
- 과기정통부, ‘AI 안전·신뢰·윤리 확보 방안’ 쟁점 투표·아이디어 공모전 연다
- 과기정통부, 지능정보화 기본법 개정안 입법예고
- 루닛, 한-아프리카 ‘ICT 리더십 포럼’서 AI의료 솔루션 시연
- KT 디지털시민 프로젝트, 정보사회세계정상회의(WSIS)서 수상
- 카카오페이, 2023 ESG 보고서 발간…지난해 이어 두 번째
- 카카오, 환경부와 MOU…대국민 탄소중립 실천 활동 전개
- 과기정통부, 초거대AI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가 공모
- 디지털·신뢰·인재유치, 미래 도시문제 해결 핵심…1순위 과제는 기후변화
- 카카오, S&P글로벌 주관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서 탑1% 등급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