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표준 CC인증 EAL4 획득, SDP 기술 적용
SK브로드밴드(SKB)가 제로트러스트 보안 기반의 B2B 서비스 ‘스마트WAN(SmartWAN)’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SmartWAN은 소프트웨어(SW) 방식으로 다양한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정의-WAN(SD-WAN) 기반으로 제공된다.
전세계 600여 통신거점(PoP)을 통해 기업 고객사가 원하는 구간에서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구축에 시간과 비용이 드는 전용회선보다 효율적이고 즉시 설치할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SKB는 꼽았다.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글로벌 인터넷 구간의 연결 경로를 최적화해 통신 품질이 우수하고 기업 고객사가 기존 인프라에서 사용하는 전용회선이나 유무선 인터넷, 위성 등을 단일 회선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연동 기술도 제공한다.
SD-WAN 서비스에 SK텔레콤의 소프트웨어정의경계(소프트웨어정의경계, SDP) 기술을 접목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의 보안성도 높였다.
기업 내 서버 등을 접속할 때마다 양자난수생성(QRNG) 방식으로 순수 난수키를 발생시켜 엔드-투-엔드 암호화로 고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한다고 SKB는 설명했다.
SmartWAN에 적용된 SDP 기술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을 모두 충족해 최소 권한에 의한 업무망 이용과 세분화된 접근 권한 관리 등 한 단계 높은 보안 수준을 제공한다. 2023년 국가정보원의 CC인증 EAL4등급도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
김주영 SKB 커넥티비티CO 담당은 “SmartWAN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통신 회선의 안정성과 제로트러스트 보안을 통합 제공함으로써 디지털전환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며 “기업 고객사의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을 선도하고 맞춤형 상품을 지속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코오롱베니트, SAS와 총판계약…AI·데이터 솔루션 사업 확대
- S2W, 중기부 ‘초격차 스타트업 1000+’ 선정…글로벌 진출 본격화
- KT, 100기가 전국 전송망 구축…“전용회선·유무선 안정성 강화”
- SK 최태원, 22일 미국 출장길…AI·반도체 시장 점검
- HPE, “가상화 기능 확대·강화로 IT자산 현대화 지원”
-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장애 해결…인피니언, ‘전원 시스템 신뢰성 모델링’ 공개
- AWS, “다중인증(MFA) 확장으로 위협 탐지·차단 역량 개선”
- LGU+, O-RAN ‘플러그페스트’서 전력절감·E2E 시험 자동화 기술 실증
- SKT, AI오케스트레이터 상용화…“네트워크 운용·관리 효율성 제고”
- 아이티텔레콤 5G 장비, 우수연구개발 혁신 제품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