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ASI·KTL·경희대와 컨소시엄 구성, 국책 사업 수주
SK텔레콤이 무선과 위성통신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양자암호통신 시스템 개발 국책 과제를 컨소시엄 형태로 수주하고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위성 탑재향 장거리 무선 QKD(양자암호키분배) 시스템 개발’로 지난 4월 과제 수주에 성공한 바 있다.
컨소시엄에는 SK텔레콤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천문연구원(KASI),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경희대학교가 참여한다.
QKD는 양자 역학의 특성을 기반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양쪽에서 동시에 양자 암호키를 생성 및 분배하는 기술이다.
5년간 진행되는 이번 국책 과제는 고성능 QKD 구현 기술, 광집접화 기술, 적응 광학 기술, 무선 레이저 통신 기술 등 다양한 최첨단 기술들을 융합해 지상을 포함해 위성 탑재까지 가능한 30km급 장거리 무선 QKD 시스템의 개발이 최종 목표다.
컨소시엄은 초고속 양자난수생성기(QRNG), 고성능 소형 단일광자검출기(SPAD), 신규 QKD 프로토콜 구현 등 QKD와 관련된 다양한 핵심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SK텔레콤은 KAIST 주도로 진행되는 양자팹 구축 사업에도 참여한다. 양자팹은 양자역학 기반의 반도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공정 팹 시설로, 2031년까지 KAIST 내 2,500㎡ 규모로 구축 예정인 양자팹에서 SK텔레콤은 양자QKD에 사용되는 광집적회로 모듈을 개발한다.
하민용 SK텔레콤 글로벌솔루션오피스 담당(CDO)은 “국내 최고의 양자 기술을 보유 중인 기관 및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국책 과제를 수행하게 됐다”며 “유무선 및 위성 네트워크를 포함한 ICT 전영역에 QKD와 PQC를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하는 등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고 글로벌 양자암호통신 시장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U+·NIA 제안 ‘PQC 적용 표준안’, TTA 표준 최종 채택
- KT, PQC 기술 상용화 준비 완료…이르면 내달 관련 시장에 도입
- 한컴위드, 구간암호화 솔루션 ‘한컴 엑스커넥트 4.0’ 출시
- SKB, 양자 암호화한 ‘드론 4K 영상’ 실시간 전송 성공
- KT, “차세대 네트워크·초거대AI로 미래생활 조망한다”
- SKT·탈레스, SIM-통신망 인증기술 개발…5G 시험망 연동 성공
- 국정원 보안검증 통과, 제1호 양자키관리장비(QKMS) 나왔다
- LGU+, 고객센터 앱에 ‘익시 통신플래너’ 적용…“고객 요금절감 지원”
- AI반도체·보안·양자·SW 석·박사급 인재 키운다
- S2W, ‘SIS 2024’서 AI-보안 융합기술 트랜드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