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억원 투입…창의·도전적 연구수행 기회제공
체계적 지원으로 차세대 R&D 리더 육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2024년 차세대주역 신진연구사업’ 선정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젊고 창의적인 연구자들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발굴·육성하기 위해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올해는 7개의 과제가 선정, 각 과제당 연구비 3억원 등 총 21억원이 1년 6개월간 지원된다.
선정된 7개 과제는 ▲광필터가 필요없는 차세대 인공지능 초분광영상장치 ▲차세대 반도체 CT검사를 위한 지능형 엑스선 타이코그래피 핵심기술 ▲이차전지 전극 공정 최적화를 위한 고분해능 3차원 기반 인라인 검사 원천기술 ▲불법드론 맞춤형 무력화를 위한 직충돌형 고속정밀 타격 자율비행 온보드 AI기술 ▲공간 인터페이스 한계 극복을 위한 지식그래프 기반 IUI 기술 ▲과불화화합물의 체내 위해성 분석을 위한 고신뢰 바이오마커 플랫폼 ▲난치성 종양 미세환경의 RNA 공간분포 영상분석 플랫폼 등이다.
ETRI 이현우 기획본부장은 “이번 연구사업이 신진연구자들에게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기술 선도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차세대주역 신진연구사업은 미래를 위한 성장 사다리형 ‘창의도전 이음투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난해 첫 시행됐다. 지난해 선정된 6개 과제는 현재 SCIE급 2건을 포함한 저널 5건, 학술대회 9건, 특허출원 7건 등의 성과를 과제 수행 중에 달성하면서 기대를 높이고 있다.
ETRI는 차세대주역 신진연구사업을 비롯한 창의도전 이음투자를 통해 미래를 위한 R&D를 독려하고 있다.
창의도전 이음투자 프로그램은 기술료 등 자체수입을 R&D에 재투자하는 것으로, ▲씨앗형 도전연구(분야별 시드R&D) ▲차세대 신진연구(주니어 프로젝트리더) ▲신개념 선행연구(일품‧우수씨앗 성장) ▲창의전문연구실(고위험·장기 도전R&D) 등으로 구성돼 연간 130억원 이상이 투자되고 있다.
관련기사
- 산업부, AI 디자인 확산 전략 발표…“AI 디자이너 1만명 양성”
- 김완기 특허청장, 다렌 탕 WIPO 사무총장과 협력안 논의
- ETRI, 메타버스 국제표준 문서 52건 주도
- 퀄컴, 이공계 학술 논문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 로컬 혁신기업 육성…중기부, ‘강한소상공인’ 210개팀 선발
- AI반도체·보안·양자·SW 석·박사급 인재 키운다
- ETRI, ‘나노코리아 2024’서 혁신 기술 6종 선봬
- ETRI, “정책AI로 공공의사결정 지원”
- 정부, ‘1인 미디어 콤플렉스’ 지원 확대…“제2 트웰브랩스 발굴한다”
- ETRI 박성익 박사, 美 ATSC 리처 메달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