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로봇·의료기술·AI 분야 연구성과 소개
촉감센서 집적형 로봇 등 전시

360도 전방위 촉각감지 기술이 적용된 로봇핸드 [사진=ETRI]
360도 전방위 촉각감지 기술이 적용된 로봇핸드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3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막한 ‘나노코리아 2024’에서 6종의 나노 신기술을 공개했다. ETRI는 이번 전시기간 동안 ▲촉감센서 집적형 로봇 ▲근골격·심혈관 등 의료분야 ▲뉴로모픽 인공지능(AI) 등 나노 관련 기술 6개와 3개 사업현황을 공개한다.

360도 전방위 촉각센서 로봇핸드 기술은 공기압 기반의 고내구성 압력센서와 최신 로봇핸드를 융합해 사람의 손처럼 자연스럽게 물체를 다룰 수 있게 한 것이다.

ETRI는 사람 피부와 유사한 강성을 갖는 에어 챔버형 유연 촉각센서 하드웨어 기술과 고분해능 신호처리 회로 기술을 바탕으로 물체의 강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도화된 센서를 개발·적용해 여러 방향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게 했다. 

근골격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 기술은 피부에 부착하거나 옷 위에 착용할 수 있는 유연한 압력 센서와 진동 센서를 활용한 것으로 옷 위에 착용해 측정 가능하며, 근육의 활성도와 피로도를 동시에 추출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헬스케어는 물론 근손상 재활치료, 근감소증 관리, 근마비 환자의 장기 재활 등에서 응용될 수 있다고 ETRI는 소개했다.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위한 유연인장 패치 기술은 피부처럼 얇고 유연하며 늘어나는 패치 형태의 소자를 흉부에 부착해 연속적인 혈압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센서 기술이다. 

이외에도 ▲반도체 실험실/플렉시블전자소재센터 ▲융합혁신지원단/N-TEAM ▲반도체 설계검증 인프라활성화 등의 반도체 지원 사업과 ▲로봇핸드 기반 물체 인지·분류 기술 ▲뉴로모픽 AI칩 기술 ▲저온공정 고전도성 전극 페이스트 소재·공정 기술도 전시한다. 

민옥기 ETRI 초지능창의연구소장은 “나노기술은 활용성을 다양화시킬 수 있는 신성장동력의 핵심 기술”이라며, “그동안 ETRI 연구진의 노력으로 개발된 유의미한 성과들을 공개함으로써 나노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술 상용화에 다가가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