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함께 2024년 초거대 인공지능(AI) 공공 서비스 개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공공부문의 인공지능(AI) 활용과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해 4억원 규모의 예산을 올해 77억원으로 대폭 확대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올해는 더 다양한 공공분야에서 AI 활용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공공 범용, 공공 특화, 현안 해결의 3개 분야로 구분해 AI 근로감독관, 스마트 소방 안전, 장애인 의사소통 지원 등 총 8개 과제를 선정하고 서비스 개발을 지원한다.

디플정위와 과기정통부는 고진 위원장 주재로 서울소방재난본부, 고용노동부 등 과제 수요 부처‧기관 및 AI 공급 기업들과 함께 초거대AI 서비스 개발지원 통합 협약식을 15일 열고 8개 과제별로 구체적인 사업 목표와 수행 방안을 점검했다.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아일리스프런티어 컨소시엄은 소방공무원이 건축 도면을 분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국방부와 에스큐아이소프트 컨소시엄은 생성AI 기반 국방시설 건축 행정 지원 서비스를 각각 구현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과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은 청년 농업인에게 AI가 최신의 농업 기술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특허청과 솔트룩스 컨소시엄은 AI가 특허심사관에게 심·판결문 검색, 유사 특허 검색, 의견서 요약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한다.

고진 디플정위원장은 “공공부문에서 초거대 인공지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성공사례가 창출돼야 하는 만큼 공공부문 인공지능 서비스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종호 장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공공영역에 초거대 인공지능을 적극 도입하고 국산 초거대 인공지능 모델의 활용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인공지능 세계 3대 강국 수준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