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함께 2024년 초거대 인공지능(AI) 공공 서비스 개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공공부문의 인공지능(AI) 활용과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해 4억원 규모의 예산을 올해 77억원으로 대폭 확대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올해는 더 다양한 공공분야에서 AI 활용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공공 범용, 공공 특화, 현안 해결의 3개 분야로 구분해 AI 근로감독관, 스마트 소방 안전, 장애인 의사소통 지원 등 총 8개 과제를 선정하고 서비스 개발을 지원한다.
디플정위와 과기정통부는 고진 위원장 주재로 서울소방재난본부, 고용노동부 등 과제 수요 부처‧기관 및 AI 공급 기업들과 함께 초거대AI 서비스 개발지원 통합 협약식을 15일 열고 8개 과제별로 구체적인 사업 목표와 수행 방안을 점검했다.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아일리스프런티어 컨소시엄은 소방공무원이 건축 도면을 분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국방부와 에스큐아이소프트 컨소시엄은 생성AI 기반 국방시설 건축 행정 지원 서비스를 각각 구현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과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은 청년 농업인에게 AI가 최신의 농업 기술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특허청과 솔트룩스 컨소시엄은 AI가 특허심사관에게 심·판결문 검색, 유사 특허 검색, 의견서 요약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한다.
고진 디플정위원장은 “공공부문에서 초거대 인공지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성공사례가 창출돼야 하는 만큼 공공부문 인공지능 서비스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종호 장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공공영역에 초거대 인공지능을 적극 도입하고 국산 초거대 인공지능 모델의 활용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인공지능 세계 3대 강국 수준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EU ‘디지털시장법’ 압박에 꼬리내린 애플…“비접촉식 결제 개방”
- 제1차 SW 공급망 보안 포럼…과기정통부 “가이드라인 확산안 논의”
- 과기정통부·행안부, 공공 정보시스템 혁신 ‘맞손’…협의회 발족
- 아콘소프트 ‘칵테일 클라우드’, 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기술 연동·검증 완료
- 디지털플랫폼정부위, ‘글로벌 DPG 얼라이언스’ 킥오프 미팅
- 모바일 신분증 탑재한 삼성페이…‘삼성월렛’으로 재탄생
- NIA, 캄보디아 정부와 한국형 디지털정부 확산 논의
- 카카오클라우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클라우드 전환 완료
- 네이버 자율규제위, 6차 정기회의…‘프로젝트 꽃’ 발전 방향 논의
- 최고데이터책임자(CDO)급 인재 양성기관에 KAIST·포스텍·서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