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가·10기가 인터넷 단일 장비로 동시 서비스
KT가 기존 인프라를 활용해 10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콤보 인터넷’ 기술을 개발하고 자사 네트워크에 도입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술은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의 국제표준이다.
기존에는 10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광 신호를 변환·통합해주는 장비를 추가 설치해야만 했다. 콤보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의 인프라에 콤보 인터넷의 모듈을 달아 10기가 인터넷을 서비스할 수 있다고 KT는 설명했다.
KT는 이 기술을 고객의 니즈에 따라 10기가 인터넷 설치가 어려운 건물에 우선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하나의 장비로 여러 서비스 회선을 통합해 효율성을 높이고 전력 소모량도 줄일 것으로 KT는 기대했다.
아울러 KT는 콤보 인터넷 기술이 집안의 모든 기기를 통합 관리하는 AI 솔루션의 수요나 높은 전송용량을 요구하는 영상 기반의 AI서비스 확대에 유용할 것이라 전망했다.
향후 고객의 인터넷 사용 패턴을 분석해 최적의 속도와 대역폭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맞춤형 서비스도 개발할 계획이다.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 권혜진 상무는 “고객 중심의 기술 혁신을 지속해 더 나은 인터넷 사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AICT 컴퍼니로서 앞으로도 증가하는 AI서비스 수요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를 혁신하고 초고속인터넷 1등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KT, 보이스피싱 회선 긴급 차단 서비스 개발…상용망 도입
- SKT, 싱텔과 MOU…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협력 ‘맞손’
- KT 1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5,065억원 전년동기비 4.2% 증가
- 도농 인프라 격차 해소…농어촌 마을 446곳에 초고속인터넷망 구축 지원
- 이용자 보호 평가서 LGU+·SKT ‘매우 우수’…애플·메타는 ‘미흡’ 최하위
- LGU+, 오픈랜 성과공유회 ‘플러그페스트’서 국내외 협업사례 공유
- 삼성, 日 KDDI와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협력 ‘맞손’
- LGU+, 이노와이어리스와 오픈랜(O-RAN) 연동오류 검증 장비 개발
- 초고속인터넷 약정 해지 부담 낮아진다
- LGU+, MZ세대 스마트폰 과의존 방지 캠페인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