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MOU…2026년까지 급속충전기 50대 이상 설치
LG전자가 서울시와 국내 전기차(EV) 충전 솔루션 사업 확대에 나선다.
LG전자는 30일 서울시청에서 서울시 여장권 기후환경본부장, LG전자 우종진 BS연구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와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협력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양적 확대와 다양한 수요에 최적화된 맞춤형 충전 솔루션을 공급해 시민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LG전자는 넥씽 등 충전사업자(CPO)에게 급속(200/100kW)/완속(7kW) 충전기와 로봇 충전 솔루션을 공급한다. 서울시는 전기차 충전기가 필요한 공간을 찾고 필요한 행정적 지원에 나선다.
LG전자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건물·공원·주차장 등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 교체 및 추가 공급을 통해 2026년까지 급속충전기 50대 이상을 설치할 계획이다. 복지센터를 중심으로 두산로보틱스와 공동 개발한 로봇 충전 솔루션도 10대 이상 설치한다.
로봇 충전 솔루션은 LG전자의 급속충전기(200/100kW)와 두산로보틱스의 충전 로봇을 접목한 것으로, 전기차를 충전가능한 구역에 주차하고 충전구를 열면 로봇이 스스로 충전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LG전자는 클라우드 기반 관제 플랫폼(e-Centric)을 통해 충전 현황 등 충전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LG전자 서흥규 EV충전사업담당은 “차별화된 품질의 충전기와 관제 플랫폼이 결합된 최적의 충전 솔루션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수요를 공략해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솔루션 사업자로서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현대모비스 2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6,361억원 전년동기비 4.2% 감소
- LG엔솔 2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1,953억원 전년동기비 57.6% 감소
- 온세미, 폭스바겐에 SiC 기반 파워 박스 솔루션 공급한다
- SK온 이석희, “미래 성장 위해 사람·연구 투자 아끼지 말아야”
- 전기차(EV) 충전기 등급제 도입…국표원, 기술기준 개정 고시
- LG전자, 美차지포인트와 전기차(EV) 충전사업 ‘맞손’
- LGU+·카카오모빌리티 EV 충전 합작법인(JV) ‘볼트업’ 공식 출범
- 삼성스토어, 전기차(EV) 충전소 매장 확대…연말까지 5개 매장 추가 도입
- 카카오모빌리티, 서울시와 전기차 ‘오토차징’ 서비스 론칭
- SK시그넷, 전기차(EV) 충전기 보안시스템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