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국가 데이터 인프라 전략 이슈페이퍼 발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대구본원 전경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대구본원 전경

한국지능정보원(NIA)이 인공지능(AI) 시대에 주권과 신뢰를 기반으로 막힘 없는 데이터 제공·활용을 위한 ‘국가 데이터 인프라 추진 전략’을 담은 이슈페이퍼를 발간한다고 2일 밝혔다.

사람뿐만 아니라 에이전트, 로봇, 장치 등도 데이터 공급자이자 사용자로 참여하면서 지금의 데이터 활용 체계로는 한계가 있어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데이터 제공 및 활용을 위한 질서와 체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는 분야별로 개별적·분절적으로 데이터가 생산되고 제공되고 있다. 이용자 측면에서는 산재해 있는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를 찾기가 힘들고, 공급자 측면에서는 데이터를 한번 제공한 후에는 통제권이 상실돼 데이터 제공에 소극적인 입장이다. 

특히 생성AI가 곳곳에 확산되며 AI가 활용한 데이터에 대한 출처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NIA는 모든 분야에서 데이터의 막힘 없는 흐름과 이용이 가능하고, 데이터 주체의 권리를 보장하는 기술적·제도적 기반으로 국가 데이터 인프라를 제시하고, 데이터 관리·활용·주권 보장의 핵심 영역별로 참여자 간 합의 과정을 거쳐 국가 차원에서 공통 규칙과 기술적 준수 사항들을 제정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국가데이터인프라 세부 지원 기능 [사진=NIA]
국가데이터인프라 세부 지원 기능 [사진=NIA]

이의 일환으로 보고서에서는 국가 데이터 인프라 구현을 위해 ▲AI도 활용 가능한 국가 데이터 카탈로그 구축 등 데이터 관리 수준 제고 ▲민간·공공 구분 없는 국제표준 기반의 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 ▲참여자 인증 및 데이터 주권 보호장치 마련 ▲국가 데이터 인프라 거버넌스 정립 등 4대 분야에서 8대 추진 과제를 제안했다.

NIA 황종성 원장은 “AI 강국이 되기 위해서 데이터 인프라와 컴퓨팅 인프라가 중요하다”며 “이중 국가 데이터 인프라는 유럽연합(EU)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데이터 인프라 정책과 전략적 연계와 협력까지 염두에 두고 있어 향후 지속적으로 국가 데이터 인프라 전략을 고도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