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공급망에 대한 글로벌 탄소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민관 공동으로 ‘산업 공급망 탄소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얼라이언스’ 출범회의를 열고 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했다.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탄소규제는 제품별 탄소발자국 등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전체 탄소배출량의 산정과 감축을 요구하는 형태로 현실화되고 있다.
반면, 우리 기업은 탄소배출량 산정에서조차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적시 대응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경쟁력 하락과 수출 차질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산업부는 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전략 아래 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얼라이언스를 출범하고 민관 역량을 결집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우선 공급망으로 연결된 기업 간에 탄소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한국형 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클라우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존의 방식이 아닌, 플랫폼은 데이터의 통로 역할만 하고 개별 기업이 데이터 주권을 보장받는 방식을 채택해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 및 활용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우선 탄소규제 대응이 시급한 5대 업종을 중심으로 기업의 탄소데이터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구축한 뒤 향후 전 업종과 산업데이터를 포괄하는 플랫폼으로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이다.
탄소배출량 산정·감축 사업은 개별 기업 중심의 지원을 벗어나 수출 공급망으로 연결된 기업군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전환한다.
산업단지·지자체 등과의 협업을 지원하고 국제통용 탄소발자국 검증제도의 국제상호인정 확대, 부처 간 협업예산 제도를 활용한 사업 효율화를 통해 정책의 성과를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FTA·통상종합지원센터를 원스톱 통합창구로 활용해 글로벌 탄소규제 관련 기업의 애로사항 상담과 관련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대응이 시급한 5대 업종은 별도로 탄소통상 규제대응 협의체를 구성해 정보 공유 등 업계의 규제 대응을 세밀하게 지원해나간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날 출범한 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얼라이언스 및 분과 회의체를 통해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며 국내 대응 역량을 결집해나갈 계획이다.
안덕근 장관은 “산업 공급망의 탄소중립은 민관이 손을 잡고 이끌어나가야 할 과제”라며 “규제 대응의 위기 상황을 새로운 기회로 만드는 도전에 기업인·전문가들과 산업 혁신의 캠페인으로서 함께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산업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범부처 대응반 회의
- 전세계 드론 관리 농경지, 5억 헥타르 돌파
- 기계연 ‘탄소저감’ 기술, 美KBR에 기술이전
- 현대모비스, “최근 3년간 3천건 특허출원…950여건은 친환경차 분야”
- 폐배터리 수거로 자원 재순환…협의체 ‘배리원’ 출범
- 삼성, QLED·OLED TV로 ‘탄소저감’ 인증 획득
- ETRI, 개방·확장형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표준 플랫폼 개발
- 산업부·대한상의, 제2차 탄소중립 산업전환 세미나…규제동향 논의
- 7월 수출, 10개월 연속 성장 달성
- “데이터 신질서·생태계 조성 위한 데이터 인프라 전략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