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 생태계 구축 협약 체결
지역기업이 겪는 자금과 인력확보 등으로 인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길이 열린다. 지역 앵커기업과 지방대가 주축이 돼 첨단 신산업 분야 중대형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플랫폼이 마련되고 지역대학과 출연연구기관 간 협업 범위도 확대된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안덕근 장관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2일 대전 소재 바이오 기업인 바이오오케스트라를 방문해 지역발전정책 협업 강화와 지역발전 프로젝트 공동 추진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산업부는 지역 유망기업 발굴·육성과 기술개발, 교육부는 라이즈(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와 연계한 기업 맞춤형 인재양성, 과기정통부는 대학·산업·출연연 간 협력 강화 등을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날 열린 간담회에서 세 부처는 이번 업무협약을 이행하기 위한 ‘지역발전 프로젝트 협업 방안’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지역기업의 자금과 인력수급 여건 개선을 추진한다. 산업부가 지역 유망기업을 발굴해 지역산업활력펀드로 기술사업화 자금을 지원하면 교육부는 해당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지방대학에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설한다.
두 부처는 선도사업으로 이미 펀드 투자를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맞춤형 인재양성에 들어간다.
산업부와 교육부는 지역 주도의 차세대 혁신기술 개발도 함께 지원한다. 지역기업과 지역대학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역별 전략산업에 맞춰 혁신기술 개발 과제를 신청하면 산업부는 기업에, 교육부는 대학에 연구자금을 지원한다.
필요할 경우 역량 있는 수도권 대학 등과의 협업도 가능하다. 올해 하반기 혁신기술 개발 과제를 접수·평가해 내년부터 지원을 시작한다.
교육부와 과기정통부는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고도화하기 위해 지역대학과 출연연구기관 간 플랫폼을 구축해 공동연구, 인재양성, 기술사업화 등의 활동을 지원하는 학·연 협력플랫폼 구축 시범사업과 라이즈를 연계하는 등 협업을 강화한다.
기선정된 4개 플랫폼을 중심으로 협업을 추진하고 금년 하반기에는 양 부처 간에 공동기획연구를 통해 협업 확대방안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국정과제인 지방시대 실현과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기업과 산업이 성장하고 좋은 일자리가 늘어나 지역경제에 생기가 도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돼야 한다”며 “앞으로도 부처 간 벽을 허물고 더 큰 지원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내년부터 전면 도입되는 라이즈를 통해 지역의 혁신적 발전을 지원하고 부처 간 칸막이 없는 연계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교육부·산업부와 지역 혁신을 위한 협업과제를 지속 발굴하겠다”고 다짐했다.
관련기사
- NIA, 첨단 디지털기술 개발지원도구 확대 공모
- ‘가상융합산업진흥법’ 이달 28일 본격 시행
- 과기정통부, ICT 국제공동연구 가속화
- “메모리 중심 반도체 밸류체인, 시스템반도체·소부장으로 확장”
- ETRI, 디스플레이혁신공정센터에 공정기술 전수
- 인니에 첫 ‘해외조선인력센터’ 개소…현지서 숙련공 키운다
- 과기정통부, 국가인공지능위원회 구성 본격 착수
- 네이버클라우드, “내년 3월 도입 AI 디지털교과서…현장 적용 지원할 것”
- 산업부, iLED 산업 육성 얼라이언스 회의…4,840억원 R&D 계획 논의
-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시뮬레이터 본격 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