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디지털화 기반 구리 순환성 강화 컨설팅·기술지원 제공

슈나이더일렉트릭이 세계 최대 천연자원 기업 중 하나인 글렌코어(Glencore)와 구리 공급망 혁신과 탈탄소화를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광물 산업은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최대 7%를 차지한다. 특히 스코프3(Scope 3) 배출량은 기업 전체 탄소배출량 중 75~95%에 이른다. 증가하는 구리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은 광물산업계에 새로운 도전과제로 떠오른 상태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자동화·디지털화·전기화 기술을 바탕으로 글렌코어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컨설팅과 기술적 지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소비 보고를 개선하고 구리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줄이며 자동화·표준화를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아비바 PI 시스템(PI System)과 프로세스·데이터 수집·분석 툴(Operations Control), ETAP 전기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활용해 글렌코어가 원자재 공급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탄소 강도를 낮추도록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ETAP 솔루션은 광산 작업에서 전반적인 분배 네트워크를 방해하지 않고 다양한 전력 입력을 처리해 전력 분배를 시뮬레이션·최적화한다. 이는 전력 수요 증가, 재생 에너지 복잡성 및 비용 변동이 있는 상황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외에도 슈나이더일렉트릭은 연료 전환과 에너지 효율화 조치를 위한 사업 타당성 검토를 글렌코어와 공동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롭 모핏 슈나이더일렉트릭 광업·광물·금속 부문 총괄은 “광물 자원은 전세계 산업과 전력망 전환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슈나이더일렉트릭는 글렌코어와의 협력을 통해 구리 공급망의 탈탄소화를 앞당기는 동시에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운영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죠티시 조지 글렌코어 구리·코발트 마케팅 책임자는 “글렌코어는 원자재 공급망과 운영을 디지털화하고 탈탄소화하기 위해 슈나이더일렉트릭의 기술과 솔루션을 활용할 계획”이라며 “이번 협력은 양사가 순환 공급망을 구축해 각각의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