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와 연계해 세계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무탄소 에너지 시대를 주도할 기술혁신 방안을 논의하고자 기후기술 학술회의를 개최한다고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각국은 청정에너지 도입을 확대하고, 산업 공정의 전환을 통한 탄소배출 저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의 주관 부처로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탈탄소화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술개발을 지원해왔다. 청정수소 도입에 필수적인 수전해 기술 국산화와 더불어 탄소배출을 직접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분야 원천기술 개발과 실증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이번 기후기술 학술외의에서는 수소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분야 산업계 동향을 공유하고 다가오는 무탄소 에너지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분야별 기술개발 도전과제를 논의했다.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NEF)는 다가오는 탈탄소 시대의 수소 및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시장 전망을 소개한다.
미국 태평양 북서부 국립연구소(PNNL) 에너지부(DOE) 수전해 연구과제 총괄 책임자인 올가 마리나 수석연구원은 고체산화물 수전해 분야 최신 기술개발 동향을 공유했다.
덴마크 공과대학교(DTU)에서는 유럽의 수소 생산 기술개발 현황과 더불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기술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일본 와세다 대학교는 공기 중 직접포집(DAC)을 포함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분야 세부 기술에 대한 소개와 지속가능항공유(SAF) 등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앞으로의 도전과제를 논의했다.
이창선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과학기술을 통해 세계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다가오는 무탄소 에너지 시대에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된 기술이 필요한 산업 현장에 적용되어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 감축과 신산업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KT, AI 정신건강 플랫폼 사업 본격화
- 과기정통부, 혁신기술 보유 10개팀 선정·시상
- 경기혁신센터, ‘경기도 기후테크 스타트업 오디션’ 성료
- 기계연 ‘탄소저감’ 기술, 美KBR에 기술이전
- 폐배터리 수거로 자원 재순환…협의체 ‘배리원’ 출범
- SK, ‘CES 2024’서 7개 계열사 통합전시관 운영…“넷제로·AI 분야 외연 확장”
- “기후문제 해결, 민간기업·시민사회 참여 절실”
- 네이버·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디지털 탄소저감 캠페인 ‘그린웨일’ 진행
- SKT·조비, UAM 상용화 시동 속도전…“내년 조비 기체 국내 들어온다”
- ESG 접근성 높일 아이디어 모색…현대모비스 ‘ESG 아이디어톤’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