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통화에서 보이스피싱을 자동 탐지하는 ‘KT 실시간 통화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가 과기정통부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승인을 받았다.
KT의 실시간 통화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는 별도의 서버 연동이 필요 없는 온디바이스AI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통화에서 보이스피싱 위험도를 알려주는 서비스다.
KT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협업해 실제 보이스피싱 목소리의 특징을 추출해 제공한 데이터를 통해 통화 위험도를 감지해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는 통화 음성에서 AI 언어모델이 실시간으로 금융 사기와 연관된 문맥을 탐지하는 기존 ‘보이스피싱 탐지 AI 에이전트’ 기술에서 한 단계 나아가 의심스러운 통화를 화자인식 기술로 과거 보이스피싱 범죄자 목소리의 특징정보와 비교해 목소리 유사도를 분석하고, 위험을 알려주는 것이다.
서버 연결 없이 단말에서 온디바이스 방식으로 동작해 보이스피싱 판별을 위한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불가피하게 노출될 수 있는 위험도 줄였다. 보이스피싱 데이터를 제공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실증특례에 함께 참여하면서 보이스피싱 탐지 성능 개선을 위해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KT는 이번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승인을 계기로 앞으로 브이피의 스팸 차단 앱 ‘후후’에 실시간 통화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을 탑재해 서비스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AI 기술의 성능을 개선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병무 KT 고객경험혁신본부장(상무)은 “실시간 통화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의 실증특례 승인은 KT가 AI 기술을 빠르게 적용해 고객 피해 예방에 나서겠다는 노력과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며, “앞으로도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이스피싱 탐지를 위한 AI 기술개발을 적극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실시간 보이스피싱 방지 기술 등 규제특례 신규 지정
- KT, 제주도 5G망에 오픈랜 시스템 구축
- 사무실 유선전화를 스마트폰으로…KT, ‘오피스모바일’ 출시
- SKT, QKD-PQC 하이브리드형 양자암호 솔루션 출시
- SKT ‘T전화’, AI 기능 더한 ‘에이닷 전화’로 전환
- KT, AI 기반 보이스피싱 종합 탐지 기술 개발 완료
- LGU+, 어르신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교육
- SKT, 취약계층 2천명 대상 ‘AI콜 금융범죄 예방 교육’ 추진
- KB리브모바일, 보이스피싱·중고거래 사기 예방 신규 요금제 2종 출시
- KT, ‘마이케이티’ 앱 내 스팸 차단·관리 서비스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