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프카카오 컨퍼런스, AI 기반 그룹 미래 비전 공유
“카나나, 대화 맥락 이해로 관계 성장 지향이 차별점”
카카오가 22일 경기도 용인시 소재 카카오AI캠퍼스에서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카카오(if kakaoAI) 2024’ 현장에서 인공지능(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Kanana)’를 공개하고 그룹 전체의 인공지능(AI) 비전을 공개했다.
올해 6회째 열리는 이프카카오는 그룹 내 기술 비전을 공개하는 컨퍼런스로 24일까지 열린다. 카카오는 컨퍼런스의 주제를 AI로 정하고 총 94개 세션을 선보인다.
기조연설에 나선 정신아 대표는 카카오의 AI 비전을 주제로 ▲통합 AI 브랜드 ‘카나나’ 소개와 지향점 ▲생성AI 모델 라인업과 특징 ▲카카오그룹의 AI기술 활용 현황 및 향후 계획 ▲안전한 AI기술 활용을 위한 이니셔티브(Kakao AI Safety Initiative, Kakao ASI) 등을 공유했다.
정 대표는 “카카오의 핵심 경쟁력은 관계의 연결”이라며 “생성AI 시대에도 카카오는 다양한 관계와 대화 속에서 개인의 맥락과 감정까지 고려하는 초개인화 AI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통합 AI 브랜드 ‘카나나’를 정식 공개했다.
사명인 카카오(Kakao)와 ‘나에게 배워 나처럼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의미의 네이티브(Native), ‘배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사용가능한 기술’의 내츄럴(Natural) 등의 단어를 조합한 카나나는 사내 AI 전담 조직 명칭을 비롯해 카카오가 개발하는 주요 AI 모델과 신규 서비스 명칭에 도입된다.
정 대표는 카카오가 연구 개발 중인 언어모델, 멀티모달 언어모델, 비주얼 생성형 모델 등 주요 생성AI 모델도 소개했다. 언어모델의 경우 용량에 따라 ▲카나나 플래그 ▲카나나 에센스 ▲카나나 나노로 분류되며 글로벌 수준의 성능을 갖춘 에센스와 나노를 중심으로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 적용할 계획이다.
카카오톡의 AI 기반 안티 어뷰징 시스템(페이크 시그널)을 비롯해 선물 추천이나 맞춤형 광고 등에 AI를 활용한 사례를 공유한 정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택시, 카카오페이의 개인화된 금융상품 등 그룹 차원의 향후 계획도 공유했다.
정 대표는 AI 리스크 관리 체계인 ‘Kakao ASI’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Kakao ASI는 안전하고 윤리적인 AI기술 개발과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종합 지침이다.
정 대표는 “기술의 설계부터 개발, 테스트, 배포, 모니터링, 업데이트 등 AI 시스템의 전 생애주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다”며 “사용자 일상을 지키려는 카카오의 노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상호 카나나엑스 성과리더는 ‘AI메이트와의 새로운 연결’을 주제로 카카오의 신규 AI 서비스인 ‘카나나’에 대해 소개했다.
이 성과리더는 “10여년 간 카카오가 쌓아온 메시지 플랫폼 관련 기술 역량과 서비스 노하우는 업계 최고 수준”이라며 “카나나는 일반적 AI에이전트의 효용을 넘어 AI메이트로서의 가치를 지향한다”고 언급했다.
또 “이어지는 대화의 맥락 안에서 주요 정보를 기억해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답변을 제시하는 형태로, 기억과 경험을 공유하는 만큼 함께 한 시간에 비례해 성장하고 발전한다”고 강조했다.
이용자와의 일대일 대화를 통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식의 일반 AI서비스와 달리 카나나는 그룹대화에서도 그 맥락을 이해해 적절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관계의 형성과 강화를 돕는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속 AI메이트는 개인메이트 ‘나나(nana)’와 그룹메이트 ‘카나(kana)’로 구현된다. ‘나나’는 이용자와의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이용자가 참여한 그룹대화에서의 대화도 기억하여 최적화된 개인화 경험을 제공한다.
가령 그룹대화에서 나눈 컨퍼런스 참석 일정과 준비물 등을 기억해 이를 잊지 않도록 메시지로 알려 주거나 다양한 포맷의 문서를 이해하는 만큼 요약과 토의도 가능하다. 텍스트를 포함해 음성모드로 나나와 대화할 수도 있다.
카나나는 카카오톡과는 별개의 앱으로 출시하며 연내 사내 테스트 버전 출시를 통해 완성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이 성과리더는 “모바일 시대에 카카오톡이 그랬듯 생성AI 시대에는 카나나가 이용자들에게 가장 쉽고 유용한 대중 서비스로 자리매김 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카카오의 5천만 이용자들이 첨단 기술을 더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AI의 서비스화에 힘 쏟고 있다”며 “AI기술로 모두가 필요로 하는 미래를 앞당기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고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3분기 스마트폰 판매량 2% 늘었다…“모토로라·화웨이·구글 약진”
- 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건설 분야 특화 LLM 개발
- KOSA, 아람코와 소버린AI 중동 수출 가시화
- 우리은행, 파이썬 코딩 등 생성AI 임직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
- 레드햇, 레노버 씽크시스템 서버에 RHEL AI 지원
- 레노버, 미래 전략 키워드로 ‘하이브리드 AI’ 제시
- 데이터브릭스, AWS와 파트너십…모자이크AI 기반 맞춤 모델 제공
- LGU+, AI스타트업 창업 지원 프로그램 ‘쉬프트’ 가동
- 카카오엔터, 몽골 과기대와 클라우드 전문가 교육 성료
- AMD, ‘젠5’ 코어 기반 5세대 에픽 CPU 정식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