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투자 및 사업화 검증 비용, 익시 API 제공 등 전방위적 지원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관련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창업 지원 프로그램 ‘쉬프트(shift)’를 시작한다.
쉬프트는 LG유플러스가 AI기술 고도화를 목표로 성장가능성이 높은 국내외 대학 연구소의 창업팀과 관련 스타트업을 발굴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선발된 스타트업은 ▲전용 펀드를 통한 지분투자 ▲기술 지원 ▲사업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등의 기회를 받을 수 있다. LG유플러스와 사업 협력도 추진함으로써 우수한 미래 기술을 조기에 선점하고 급성장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LG유플러스는 자체 개발한 AI기술 ‘익시(ixi)’의 API를 제공하고 사업화 검증(PoC)을 할 수 있는 기회와 비용도 지원해 스타트업이 개발한 미래 기술이 실제 사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돕는다.
모집 분야는 ‘AI를 포함한 혁신적인 미래 기술’이며 프로그램 지원 기간은 이달 28일까지다. 시드에서 시리즈A 단계의 석박사 기술 인력을 보유한 스타트업과 대학 연구소 창업팀이면 지원할 수 있다.
참여를 원하는 기업·연구팀은 사업 계획서 혹은 사업화 검증 계획서를 LG유플러스 쉬프트 공식 지원 사이트로 제출하면 된다.
프로그램 운영은 초기 기술 스타트업 전문투자사인 블루포인트파트너스가 맡을 예정이며 지원한 스타트업의 심사와 평가를 위해 전문 펀드 운용사인 ▲신한벤처투자 ▲카카오벤처스 ▲스틱벤처스 등이 참여한다.
김지훈 LG유플러스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쉬프트에서 잠재력 있는 미래 기술들을 발굴해 상용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 AI 산업 확대에 필요한 다각적인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는 동시에 LG유플러스의 신성장 동력 발굴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데스크칼럼] 국회 스타트업 연구모임 ‘유니콘팜’에 대한 기대와 우려
- 모라이, 2025년 기업공개(IPO) 추진…주관사로 삼성증권 선정
-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제주 과정 수료식…교육생 50인 전원 수료
- 국내 스타트업, 투자위축·경기불황에 위기감 고조
- “인공지능(AI) 쏠림 현상, 전세계 공급망 균형 파괴할 수도”
- 정부, 국내 벤처투자 규모 2027년까지 16조원으로 확대한다
- KT·MS, 수조원 규모 파트너십…“AI·클라우드에 향후 5년간 집중 투자”
- [데스크칼럼] 내년도 스타트업 지원 정책, 실효성은 얼마나
- 대·중견기업-스타트업 ‘개방형 혁신 과제’ 공동수행 협력
- 리멤버, “올해 흑자전환 전망…사업 확장에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