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IP5 분석, 최근 10년간 연평균 45.3% 증가율
3D프린팅 건설기술 특허 출원이 최근 10년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최근 5년간 출원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28일 특허청이 주요국 특허청(IP5)에 출원된 관련 기술을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2012년~2021년)간 연평균 45.3%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국은 최근 5년(2017년~2021년)간 출원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특허청에 따르면 2012년에 출원된 3D 프린팅 건설기술은 8건에 불과했으나 연평균 45.3%씩 늘면서 2021년에는 231건으로 늘어났다. 특히 2014년부터 출원이 급증했는데 이를 전후로 주유국들이 3D프린팅 산업에 대한 지원 정책을 내놓은 효과로 보인다.
최근 10년간 가장 많은 출원을 한 국가는 중국(38.6%, 533건)으로 집계됐고 미국(20%, 276건)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12.1%(167건)로 3위를 차지했으나 최근 5년간 연평균 13% 성장하면서 가장 높은 출원량 증가를 보였다.
3D프린팅 건설 분야의 출원인을 분석한 결과 기업이 이 분야의 연구개발을 주도(68.5%)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83.3%), 독일(97%), 프랑스(96.4%)는 기업의 출원비율이 높았다.
한국은 기업(34.7%), 대학(30.5%), 개인(17.4%), 공공(17.4%) 등 다양한 출원인에 의해 연구개발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다출원인을 살펴보면 씨카(3.6%, 50건, 스위스), GE(3.5%, 49건, 미국), CSCEC(3%, 42건, 중국) 등 건설 관련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한국 출원인으로는 건설기술연구원(0.9%, 13건, 19위), 연세대(0.7%, 10건, 21위), 세종대(0.4%, 6건, 42위), 하이시스·디원테크(각각 0.4%, 5건, 50위) 등 연구소·대학·기업체가 다양하게 포진하고 있으며 3D프린팅 전문 중소벤처기업이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한지혜 스마트제조심사팀장은 “3D프린팅 건설은 건축폐기물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 친환경 건설방식이며 달이나 해저 등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구조물을 지을 수 있는 미래 첨단기술로 주목받고 있다”며 “특허청은 고품질 심사와 함께 특허통계 제공 등 산업계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IP 지원으로 수출 456% 증가…특허청 ‘글로벌 IP스타기업’ 현판식
- ETRI, 차세대주역 신진연구사업 7개 과제 선정
- 韓 AI헬스케어 시장 연평균 50% 성장…“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 수립할 때”
- KT넥스알·나스미디어, 광고 전환율 높이는 AI기술 특허 출원
- 韓, 마이크로LED 기술 특허출원 1위…LG·삼성 기술개발 주도
- “건설공사 설계 오류, 컴퓨터가 자동 검토한다”
- 네이버클라우드, 호반건설과 국내 첫 건설현장 이음5G 실증
- 정부, 모듈러주택 활성화 나선다…‘모듈러주택 정책협의체’ 출범
- 내달 1일 특허법·실용신안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시행
- 정부, 비수도권 벤처투자 2배 늘린다…지역 창업 생태계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