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지방시대 벤처펀드 조성계획 발표
정부가 ‘벤처·스타트업이 중심이 되는 지방시대 구현’을 목표로 비수도권 벤처투자를 2배 늘려 오는 2027년까지 2조원 규모로 확대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6일 강원도청에서 열린 제8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지방시대 벤처펀드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비수도권 창업·벤처기업은 총 413만명을 고용하고 있으나 비수도권 지역에 대한 투자는 전체 투자의 2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지역의 우수 벤처·스타트업이 충분한 벤처투자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 벤처투자를 획기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는 ‘벤처·스타트업이 중심이 되는 지방시대 구현’이라는 비전 아래 3개 전략을 추진한다. 비수도권 벤처투자를 2027년까지 2조원 규모로 약 2배 규모로 홖대하고 전체 벤처투자 중 비수도권 비중도 현행 20% 내외에서 30%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지방시대 벤처펀드를 신설한다. 3년간 1조원 규모 지방시대 벤처펀드를 신규 조성하는데 모태펀드 출자를 마중물로 지방자치단체, 지방은행, 지역 거점기업 등이 참여해 1조원 규모 지역별 지방시대 벤처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모태펀드 지방 분야 출자규모를 올해 1천억원에서 내년 2천억원으로 확대해 역대 최대 수준으로 편성했다. 행정안전부의 지방소멸대응기금도 출자자로 참여해 지방시대 벤처펀드의 일환인 ‘인구활력펀드’를 통해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투자도 추진할 계획이다.
벤처투자 제도도 지역 친화적으로 운영한다. 은행이 과감하게 벤처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일정 요건을 만족하는 정책 목적의 벤처펀드에는 위험가중치 특례를 적용한다. 이번에 신설하는 지방시대 벤처펀드에도 위험가중치 특례를 적용해 지방은행 등의 참여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방 벤처투자 인프라도 확충한다. 중기부와 행안부, 지자체가 참여하는 ‘지역 벤처투자 협의회’를 신설하고 중앙·지방 간 협력안을 정기적으로 논의하고 지역 내 투자자 네트워크도 구성한다.
지역 벤처붐 조성의 허브로서 한국벤처투자 지역사무소를 확대하고 지자체, 지역 지원기관 관리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특화 교육과정도 신설한다.
지방 순회 투자설명회(IR)를 열고 지역에서도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쉽게 만날 수 있는 기회도 확대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연중·상시적으로 초기 투자유치를 지원하고 수도권 투자자가 참여하는 권역별 대규모 투자설명회, 글로벌 투자설명회 등을 통해 중·후기 투자유치도 지원한다.
오영주 장관은 “이번에 신설한 지방시대 벤처펀드를 통해 비수도권 14개 시·도 모두 전용 벤처펀드를 1개 이상 조성해 지방 벤처·스타트업 누구나 투자유치 기회를 갖고 유니콘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오영주 장관 “사우디 진출 中企, 제2 중동 붐 주역 되도록 적극 지원”
- 개방형 기업평가 플랫폼 ‘K-TOP’ 서비스 개시
- [데스크칼럼] 높아진 문턱…‘기술특례’ 상장을 둘러싼 말·말·말
- KT·경기혁신센터, 신사업 발굴 ‘비즈 콜라보레이션’ 10개사 선정·발표
- 소셜벤처 닷, 웹툰 엔터테인먼트와 촉각 디지털 웹툰 만든다
- 3D프린팅 건설기술 특허출원 증가세…韓, 최근 5년간 증가율 1위
- 경기혁신센터, ‘제26회 스타트업815IR-연합’ 성료
- 중기부·부산시, 2,600억원 규모 ‘부산 미래성장 벤처펀드’ 조성 착수
- 정부, 국내 벤처투자 규모 2027년까지 16조원으로 확대한다
- [데스크칼럼] 반토막 난 스타트업 투자…신뢰도 하락이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