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공장 2026년 가동 시작, 유럽·북미 전지박 시장 공략 본격화
솔루스첨단소재가 유럽 유일의 전지박 생산기지인 헝가리 공장의 생산능력을 2배 이상 확대한다.
솔루스첨단소재는 29일 최근 헝가리 제2공장의 양산 채비를 마치고 본격 생산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헝가리 제2공장의 생산능력(Capa)은 연 2만3000톤이다. 기존 제1공장의 1.5만톤에 더해 유럽에서 연 총 3만8000톤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된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장기적으로는 헝가리 제3공장까지 총 10만톤의 생산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제3공장은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 시점에 맞춰 구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터터바녀 산업단지에 자리를 잡은 헝가리 전지박 생산공장은 유럽 유일의 전지박 생산기지로 납기 경쟁력을 갖추고 하이엔드 제품을 비롯한 고객사별 맞춤형 전지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유럽에 이어 북미 생산거점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착공한 캐나다 최초의 전지박 공장은 최근 캐나다 퀘백주 정부로부터 1,500억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확보한 바 있다.
2026년 양산을 시작하면 연산 2만5000톤, 장기적으로는 총 6만3000톤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되며 유럽·북미에 걸쳐 총 연 16만3000톤 규모의 전지박 생산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곽근만 솔루스첨단소재 대표는 “헝가리 제2공장이 양산을 시작함에 따라 생산능력을 확대하면서 적극적인 현지 공략이 가능해졌다”며, “현재 건설 중인 캐나다 유일의 전지박 생산거점으로 북미시장까지 선점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보폭을 넓혀 시장 주도권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엔솔 3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4,483억원 전년비 38.7% 감소
- 3분기 실적 호조에 날개 단 테슬라…CEO 리스크는 ‘잠재적 위험’
- 오토노머스에이투지, ‘FIX 2024’서 레벨4 자율주행차 양산모델 공개
- SK시그넷, 충전기 통합 지원 시스템(CISS) 도입
- LG전자, 완속 EV 충전기에 이중 안전망 구축
- 바이코, 48V 전기차(EV) 시스템용 전력 모듈 3종 공개
- 솔루스첨단소재, 캐나다 퀘벡 주정부서 1,500억원 규모 인센티브 확보
- 솔루스첨단소재, 100% 무상증자 결정…“기업가치 제고·주주친화 경영 일환”
- 두산, 전기차(EV) 소재 PFC 누적 수주액 5천억 달성
- 동박·배터리·충전기…SK ‘전기차(EV) 생태계’ CES 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