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산업 리더스 포럼 성료
양자기술 인지도 제고를 통한 저변확대, 지역특화산업 기반 퀀텀 융합 촉진 등 산학연 기술역량 결집과 향후 양자기술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포럼이 서울에서 열렸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미래양자융합포럼과 함께 ‘양자산업 리더스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양자기술은 미래 산업과 국가 안보의 핵심 기술로서 산업 전반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인공지능(AI)/반도체, 첨단바이오와 함께 양자 기술을 3대 게임체인저 기술로 선정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양자과학기술의 연구 기반 조성과 양자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이달 1일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양자기술산업법)’을 시행했다.
NIA는 이 법률에 근거해 ▲기술사업화 지원 ▲기업육성 ▲양자 테스트베드 ▲산업인력 양성 및 저변확대 등 양자기술 상용화 촉진과 창업 및 기업육성의 전담기관으로 지정됐다.
6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이날 포럼에서는 NIA와 17개 지자체가 참여해 지역 특화 양자기술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주요 의제로는 ▲지역 기반 첨단산업과 양자기술 융합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축 ▲지역 양자산업 클러스터 조성 방안 등이 논의됐다.
글로벌 양자기술 선도국은 클러스터 기반의 양자 생태계 조성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양자전환기업 육성과 전문인력 확보를 통해 차별화된 관련 산업 생태계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NIA 황종성 원장은 “양자기술은 연구개발을 넘어 산업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다. 체계적인 산업 생태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며 “리더스 포럼을 통해 양자기술의 산업화와 첨단산업과의 융합을 가속화하고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국내 생태계를 활성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포스텍 양자대학원 개원…2031년까지 박사급 인재 180명 육성
- NIA, 코스타리카서 ‘디지털정부 포럼’…중남미 3개국과 협력안 논의
- 국가전략기술 특별법 1주년 컨퍼런스…3대 게임체인저 기술 공유
- NIA, 이음5G 수행기업 현장 간담회…“전담 기관으로서 지원 확대”
- ETRI, 8광자 큐비트 양자컴퓨팅 IC 개발 성공
- SKT·서울대, 양자 분야 협업…글로벌 양자 시장 주도권 확보
- 韓·EU, 뉴로모픽·6G 등 차세대 반도체·통신 기술 공동연구 추진
- “전세계 양자정보기술 시장, 2030년 155조원 이를 듯”
- NIA, 양자기술 산업화 생태계 조성 본격 착수
- 방사성의약품 성장 전략 발표…“2030년까지 원료·신약 원천기술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