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어 파손 인한 사고 차단, 항만 안전성 강화 기대
자율운항선박이 항구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정박할 수 있도록 돕는 자동 계류 시스템의 국산화 기술이 개발됐다.
18일 한국기계연구원에 따르면, 가상공학플랫폼연구본부 신뢰성연구실 김용진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배를 항구에 자동으로 고정하는 자동 계류 시스템을 개발했다. 진공 흡착패드와 4자유도 유압 기구의 통합 제어를 통해 선박을 안전하게 계류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정박을 위해 굵은 줄(계류삭)로 작업자가 선박을 직접 항구에 고정해 왔다. 이 방식은 배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높은 강도가 필요했다. 와이어가 끊어질 경우 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있고 수동으로 항구에 고정하는 계류 작업에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됐다.
이번에 개발된 자동 계류 시스템은 사람이 직접 줄을 매지 않아도 선박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진공 흡착패드가 배를 항구에 밀착시켜 안전한 고정을 돕고 유압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계류 작업의 정확성과 속도도 크게 향상돼 인명 사고 위험을 줄이는 한편 작업 속도가 빨라지고 인력 부족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했다.
김용진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자동 계류 시스템은 자율운항선박이 안전하게 항구에 정박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기술로 스마트 항만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존의 수동 계류 방식을 뛰어넘어 해양 산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 연계기술 개발’ 사업 중 자동 계류 시스템 개발 과제로 진행됐으며,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 주관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선정됐다.
기계연은 2025년 해상에서 최종 성능을 검증하고 이후 사업화 추진하는 등 기술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기계연, 유럽 선진 기관과 AI로봇·산업기계 자율화 기술 공동연구
- 한-EU 디지털 통상협정 5차 협상…디지털교역 원활화 등 논의
- NIA, 2024년도 지능정보화 컨설팅 사업 착수보고회
- 100인치 이상 초대형 나노 투명 스크린 기술 국내 첫 상용화
- 자동차·배터리 등 국내 주력 업종 DT에 민·관 1,235억 투자한다
- LGU+, ‘조선·해운·항만 디지털전환 컨퍼런스’서 B2B 솔루션 공개
- LGU+, 초정밀측위(RTK) 기술 ‘자율주행·스마트항만’으로 확대 적용
- 시스코·글로벌엔씨, 한국형 스마트항만 구축 ‘맞손’
- 국내 연구진, 높은 강도·자가치유 갖춘 연성 전자기기 소재 개발
- 국내 연구진, 인간 인지방식 유사한 AI모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