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마이스터·AI오퍼레이터 2종 적용으로 운용 안정성 제고
KT가 네트워크 관리 업무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고 효율성과 서비스 안정성 개선에 나선다.
KT는 AI가 접목된 네트워크 지원 시스템을 도입해 새로운 네트워크 운용 체계로의 전환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KT가 이번에 적용한 AI시스템은 ‘AI마이스터’, ‘AI오퍼레이터’다.
KT에 따르면, AI마이스터는 생성AI로 네트워크 장비의 소프트웨어(SW) 측면의 관리를 돕는다. 이 시스템은 조치 방법 제안(Syslog AI), 시스템 진단(Status AI), 상태 해석(Config AI), 기술지식 검색(Netpedia) 등 4개의 프롬프트 엔진으로 구성됐으며 네트워크 운용 전반에 필요한 노하우를 대화 형태로 제공한다.
AI마이스터를 이용하면 업무에 익숙하지 않은 직원도 전문가 수준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진단되는 만큼 관련 서비스의 안정성도 높인다고 KT는 설명했다.
AI오퍼레이터는 네트워크 장비의 물리적 관리를 돕는 시스템으로 모바일 작업관리 시스템(MOSS)과 안전관리 시스템(NeMO)의 기능이 통합됐다.
시스템 진단 등의 AI 기능을 추가해 고객 서비스를 현장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고 야외 근무자의 의견을 반영해 시스템 입력 방식을 STT(Speech to Text)로 바꾸는 기능이 앞으로 추가된다.
AI마이스터는 유선 분야의 핵심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됐으며 향후 무선 등 전체 네트워크 장비로 확대될 계획이다. AI오퍼레이터는 현장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이 고객 접점에 있는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할 때 활용되고 있다.
KT는 네트워크 트래픽과 이상 패턴을 AI가 스스로 모니터링해 고장 징후를 감지하고 근본적인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과 조치 방안을 도출, 이를 자동으로 적용하는 형태로 네트워크 운용 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KT 네트워크운용본부장 오택균 상무는 “AICT 컴퍼니로서 네트워크 운용 영역에 AI를 적극 도입할 것”이라며며, “AI를 활용해 고객의 체감 품질과 운용 안정성을 지속 제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U+, KISTI와 평촌IDC에 국가 연구 데이터 허브 구축
- KT, 1.6Tbps 속도 전송망 시범적용 성공
- 과기정통부, 美 AI안전연구소 네트워크 참여…글로벌 연구 협력 구체화
- 유블럭스, 와이파이6-블루투스LE 5.4 결합 모듈 ‘MAYA-W4’ 공개
- 韓 5G 인프라, OECD 회원국 중 1위…연결 회선 수 기준 2위
- LG전자, 이음5G 기술 첫 공개 시연…다양한 활용사례 공유
- 5G 사용자 35%, 차별화된 연결성에 추가요금 지불 의향 ‘있다’
- LLM·멀티모달 모델 학습 최적화…HPE, 직접수냉식 시스템 발표
- “2028년 아태지역 인공지능(AI) 지출 1,100억 달러 형성할 듯”
- KT, 청년 아티스트 합동 전시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