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365’ 정식 서비스, 상권분석 등 주요 서비스 제공

‘소상공인 365’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인 빅데이터 상권분석 화면 [사진=중기부]
‘소상공인 365’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인 빅데이터 상권분석 화면 [사진=중기부]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예비창업자와 소상공인을 위한 데이터 기반 경영지원 플랫폼인 ‘소상공인 365’의 시범운영을 마치고 2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소상공인 365는 2006년부터 운영해온 상권정보시스템을 고도화한 플랫폼이다. 64개의 공공 및 민간 데이터를 수집해 22종으로 융합, 데이터의 품질과 범위를 개선하면서 예비창업자와 소상공인의 데이터 기반 창업·경영 의사결정을 지원한다고 중기부는 소개했다.

빅데이터 상권분석은 과밀창업을 방지하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로, 기존 상권정보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던 상권분석 서비스를 강화한 것이다.

내 가게 경영진단은 매출액, 고객 관심도 등을 바탕으로 개별 사업장의 경쟁력과 성장전망, 생존가능성 등을 분석해 제공한다.

상권·시장 핫트렌드는 직장인구가 많은 회식상권, 배달 매출이 높은 배달상권 등 특정 고객층과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핫플레이스 상권정보를 제공해 창업 아이템과 연계한 입지 선택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이외에도 소상공인 정책정보 안내 플랫폼인 ‘소상공인 24’와 연계해 정부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정책정보 올가이드도 제공한다.

소진공 박성효 이사장은 “시범운영 기간동안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적극 반영했다”며 “필요한 지원사업을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챗봇, 소상공인 24와 연계한 맞춤형 알림서비스도 새롭게 도입했다”고 말했다.

중기부 원영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소상공인 365는 예비창업자와 소상공인이 데이터에 기반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라며 “특히 365라는 숫자가 의미하는 것처럼 예비창업자와 소상공인이 필요한 정보를 언제 어디든지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