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 각각 50%씩 보유, 1천명 규모 전담 팀 신설
소프트뱅크그룹(SBG)이 오픈AI와 일본에서 합작법인(JV)을 설립한다. 양사는 인공지능(AI)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대미 투자계획을 일본으로 확장하기로 했다.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손정의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전날(3일) 일본 기업 500여개사가 참가한 도쿄 행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계획을 발표했다.
합작법인의 이름은 ‘SB오픈AI재팬’이다. 소프트뱅크그룹 산하 중간 지주회사와 오픈AI가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한다. 오픈AI의 SW기술과 팹리스 자회사인 ARM의 기술력을 활용해 경쟁우위를 확보해 나간다는 목표다.
합작법인은 기업용 AI에이전트를 개발해 기업별로 인사·마케팅 등 데이터를 집약해 고객 응대나 문서 작성 등 업무를 자동화하거나 의사 결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소프트뱅크그룹 자회사가 먼저 이를 도입해 이용료로 오픈AI에 연간 4,500억엔을 지급할 계획이다.
손 회장은 “대기업을 위한 최첨단 AI서비스를 최초로 일본에서 시작한다”고 언급하며 “합작법인에 1천명 규모의 전담 팀을 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트먼 CEO도 “일본을 시작으로 전세계에서 (서비스를)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SBG와 오픈AI는 앞서 지난달 미국에서 AI 관련 인프라 정비에 4년간 5,000억달러를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손 회장은 일본에서도 AI 보급 확산을 위한 인프라 정비를 필수로 보고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일본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일본에서도 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아울러 소프트뱅크그룹은 오픈AI에 150억∼250억달러를 직접 투자하는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SKT, AI에이전트 ‘에이닷 비즈’ 베타테스트…상반기 상용화 버전 공개
- 트럼프 행정부, 5천억 달러 규모 AI 프로젝트 추진한다
- 빅테크 한 방 먹인 ‘딥시크 쇼크’…전세계 AI 시장 흔들었다
- “인공지능(AI) 활용 투명성, 기업 신뢰도에 영향”
- SKT AI에이전트 ‘에스터’, 3월 북미 사용자 대상 베타 서비스
- 폭스콘, ‘어닝 서프라이즈’에 글로벌 반도체 주가 ‘껑충’
- MS, 인공지능(AI)에 800억 달러 투자한다
- 오픈AI, 기업구조 개편…“비영리 제한 일부 철폐, 수익성 강화 추진”
- MS, AI 학습 프로그램 허브 ‘AI 스킬 내비게이터’ 공개
- 시리-챗GPT 통합…애플, iOS 18.2 업데이트 배포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