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컴퓨터 비전으로 물체 인식·적용형 작업 수행
테라다인로보틱스가 엔비디아 개발자대회 ‘GTC 2025‘에서 협동로봇 부문 자회사인 유니버설로봇과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솔루션 제품군을 공개했다. 공개된 UR AI 엑셀러레이터는 이번 GTC 2025에서 처음으로 공개 시연됐다.
UR AI 엑셀러레이터는 협동로봇에서 고급 AI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툴킷으로 엔비디아와 유니버설로봇이 공동 개발했다.
엔비디아 젯슨 AGX 오린 시스템 온 모듈에서 실행되는 엔비디아 아이작 가속 라이브러리와 AI 모델에 의해 구동되는 UR AI 엑셀러레이터는 개발자가 AI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UR AI 엑셀러레이터는 UR의 차세대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폴리스코프X에 AI 엑셀러레이터를 제공함으로써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돕고 머신러닝(ML)과 컴퓨터 비전 기능을 통합해 AI 기반 물체 인식과 적응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반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AI가 실시간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최적의 작업 경로를 결정함으로써 지능적인 작업 수행을 지원한다고 테라다인로보틱스는 설명했다.
제임스 데이비슨 테라다인로보틱스 최고AI책임자는 “물리적 AI는 로봇이 현실세계를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함으로써 지금까지는 범위를 벗어났던 복잡한 사용사례에서 종종 요구되는 다목적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며 “AI로 강화된 로봇은 감각 입력을 기반으로 학습하고 적응하는 것은 물론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고 설명했다.
유니버설로봇에 따르면, 고성능 GPU를 활용해 복잡한 데이터 분석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정밀한 작업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비정형 작업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율 조정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UR 협동로봇 뿐 아니라 모바일 산업용 로봇 미르에서도 3D 비전과 엔비디아 젯슨 AGX 오린 모듈을 통한 작업도 수행할 수다.
디푸 탈라 엔비디아 부사장은 “엔비디아의 아이작 로봇 플랫폼을 통한 생성AI와 시뮬레이션의 발전으로 인해 물리적 AI 배포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테라다인로보틱스와의 협력을 통해 광범위한 개발자, 파트너 네트워크에 엔비디아의 최신 기술과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U+, HS오퍼레이션과 ‘맞손’…아늑호텔에 실내 배송로봇 공급
- 슈나이더, ‘AW 2025’ 출전…지속가능한 스마트팩토리 비전 공유
- IIoT 협업 강화하는 퀄컴, 드래곤윙IQ9 기반 로봇 플랫폼·솔루션 확장
- 퀄컴, SK네트웍스와 온디바이스AI 확대 협력…신사업 모델 발굴 도모
- 다쏘시스템, 쿠카와 제조로봇 파트너십…에코시스템 ‘모자이크엑스’ 합류
- 산업부, 초격차 기술 R&D·사업화 지원에 2,400억원 투자
- 카카오모빌리티, 브이디컴퍼니와 이기종 로봇 사업 ‘맞손’
- 엔비디아, AI 가드레일용 NIM 마이크로서비스 출시
- 삼성,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율 35%로 늘려…최대주주 지위 확보
- 램리서치, 팹 유지보수 협동로봇 ‘덱스트로’ 공개